QR코드 자가진단 도입해 참여율 제고… 디지털 기반 조사로 접근성 높여

대전시가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의 조기 발굴을 위한 조사 기간을 기존 3월에서 5월까지 연장한다. 이번 결정은 청년층의 참여율을 높이고 실질적인 지원 연계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조치로,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인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의 일환이다.

청년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홍보포스터 (대전시 제공)
청년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홍보포스터 (대전시 제공)

대전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5개 자치구 모두가 본 사업에 선정됐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문 조사와 전화·문자 방식의 회신률이 저조해 조사 방식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특히, 1인 가구의 비협조나 콜포비아(전화공포증), 보이스피싱 우려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발굴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디지털 친화적인 청년층의 특성을 반영해 QR코드 기반 모바일 자가진단 방식을 새롭게 도입했다. 참여자는 QR코드를 스캔해 총 17개 문항(자가 진단 11문항 포함)을 작성하면 사회적 고립 및 은둔 상태 여부를 판단받을 수 있으며,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경우 자치구에서 사례관리와 맞춤형 서비스를 연계 지원하게 된다.

이번 조사는 대전시가 2025년까지 추진 중인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의 핵심 과제로,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마음회복, 관계회복, 일상회복을 통합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전시는 청년 밀집 지역인 원룸촌, 대학가, 청년센터, 사회복지관 등에 홍보 포스터 및 QR코드가 포함된 전단지를 집중 배포하고, SNS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디지털 홍보도 병행할 방침이다.

김종민 대전시 복지국장은 “청년 고독사는 우리 사회가 외면해서는 안 될 중대한 과제”라며 “조기 개입을 통해 고립된 청년이 다시 사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