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vs척추관협착증, 어떻게 다를까?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는 척추 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추간판)가 터지면서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디스크의 손상이 신경을 자극해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이 허리나 다리로 퍼지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움직임에 제약을 받기도 한다.

◇두 척추질환 구별법
구분 | 허리디스크 | 척추관협착증 |
통증 악화 자세 | 허리를 굽힐 때 | 허리를 젖힐 때 |
쪼그려 앉기 불편함 | 오히려 편암함 | 불편함 |
통증 위치 | 한쪽 다리로 국한 | 양다리 또는 종아리까지 |
누워서 다리 올리기 | 어렵다 | 비교적 수월하다 |
한호성 에스엘서울병원 원장은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발병 원리는 다르지만, 두 질환 모두 신경 압박으로 다리 저림이나 통증을 유발한다”며, “때로는 두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기도 하므로, 자가 진단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증상이 시작된 초기 단계에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으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허리 통증을 나이 든 뒤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젊은 층에서도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현대인의 질환으로, 통증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병을 키우기 전에 조기에 진단을 받는 것이다. 반복되거나 지속적인 허리 통증이 있다면,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건강한 척추를 지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