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대부분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초기에 증상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한다. 이후 배뇨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면 그제야 병원을 찾곤 한다. 전립선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에는 잔뇨감, 빈뇨, 긴박뇨, 배뇨지연, 혈뇨, 야간뇨 등이 있다. 특히 야간뇨는 불면증과 수면 부족 문제로도 이어져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지속적인 수면장애는 만성피로를 유발할 수도 있다.
전립선이 비대해진 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방광결석, 요로감염, 급성 요폐 등 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40대 이상 남성은 전립선비대증 유병률이 높아지므로 가능한 조기에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전립선비대증 치료법은 크게 약물치료와 수술치료, 비수술치료 등으로 나뉜다. 약물치료는 간편하지만 전립선 크기 자체를 줄이지 못하고 재발 가능성도 비교적 높다. 약물 치료만으로는 증상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전립선 주위의 조직을 보호하면서도 비대 조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립선 수술 아쿠아블레이션은 절개없이 수행되기 때문에 합병증이 적고 회복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 수술 후에는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방광 조절 능력이 개선되고 배뇨 곤란 및 다른 전립선 비대증 증상이 감소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아쿠아블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려면 수술 전에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의료진이 초음파, 내시경 등의 기기를 활용해 정확한 평가와 상담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수술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전립선비대증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 연령, 증상에 따른 수술법이 다양하게 등장한 만큼 고령이거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치료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이창민 대구 이룸비뇨의학과 대표원장(비뇨의학과 전문의))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