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는 뼈와 관절, 인대, 근육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우리 몸의 균형을 잡고 운동성을 유지하는 중심 구조다. 하지만 이 복잡한 구조만큼 손상 가능성도 높아 다양한 척추 질환으로 이어지기 쉽다. 특히 허리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척추전방전위증은 뼈의 배열 자체가 무너지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위쪽 척추뼈가 아래쪽 척추보다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으로, 단순한 퇴행성 변화가 아닌 뼈의 위치 이상이 본질인 질환이다. 이로 인해 척추의 정렬이 흐트러지고, 신경이 자극받아 다양한 통증이 동반된다. 허리통증은 물론 엉치나 다리 쪽으로 이어지는 저림, 감각 저하 등 하지 방사통이 대표적이다. 특히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고, 점점 보행 시간이 줄어드는 것도 주요 증상 중 하나다.

이 질환은 선천적인 척추 구조의 약화, 외상, 퇴행성 변화, 그리고 척추분리증의 방치 등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분리증이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이 장기적으로 전위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거나 요추 전만이 심한 체형일수록 전위가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도 확인된다.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
진단은 X-ray 검사를 통해 비교적 쉽게 가능하다. 하지만 신경이 압박되는 정도가 심하거나 하지 증상이 두드러지는 경우에는 MRI 검사를 통해 주변 조직의 상태까지 확인해야 한다. 진단 후 빠르게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 전위가 시작된 초기에 발견된다면, 비수술적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운동치료와 도수치료, 약물요법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하고, 척추 정렬의 안정성을 높이는 접근이 기본이 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클 정도로 통증과 기능 저하가 심하다면 시술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시술 방법 중 하나인 척추 내시경 감압술은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 압박받는 신경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이다.

회복이 빠르고 출혈 위험이 적어 부담이 덜한 것이 장점이다. 전위의 정도가 크고 척추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에는 척추 고정술을 통해 어긋난 척추뼈를 제자리로 되돌리고, 금속 장치를 이용해 뼈를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의 수술이 시행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구조적 이상이 중심인 질환인 만큼, 단순히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보다는 뼈의 정렬을 바로잡고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진료과목 별 협진 체계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단계적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재발 방지와 예후 개선에 있어 중요하다.

(글 :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