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면서도 선뜻 척추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적지 않다. 척추 수술을 망설이는 이유는 대개 수술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척추 수술은 절개 범위가 넓어 회복 기간이 길고 수술 후에도 정상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자칫 후유증이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은 우리나라에서 유독 강점을 보이는 척추 수술 방법이다. 병변 부위의 등이나 허리를 크게 절개하는 대신 약 5~7mm 크기의 작은 구멍 두 개를 뚫어 그 곳을 통해 내시경 장비와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한다. 고배율의 내시경을 사용해 병변 부위를 확대해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수술하기 때문에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예방하기 때문에 수술 후 후유증이 남게 될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절개 범위가 좁은 만큼 회복 속도도 빠르다.

이러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의 장점은 기존 척추 수술과 대비되는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병변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기존 척추 수술은 상당한 범위의 조직을 절개하여 척추에 접근해야 했다. 때문에 신경이 손상될 위험성도 존재했으며 수술 과정에서 출혈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수술 부위가 넓어 전신 마취가 필요하다는 점도 고령 환자나 만성 질환 환자의 척추 수술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었다.

박흥식 수원 매듭병원 신경외과 원장
박흥식 수원 매듭병원 신경외과 원장
하지만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절개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출혈의 위험성이 줄어들고 부분 마취를 통해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육이나 인대, 신경 등 정상 조직에 미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수술 후 조직 회복 속도도 빠르다. 고령 환자의 경우,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체력이 약해지기 쉬워 회복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이 더욱 유리하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은 비수술적 치료, 즉 주사 치료나 신경 성형술 등을 통해 효과를 보지 못한 척추 질환 환자에게 적합하다. 또한 척추 질환에 의해 하지의 감각 이상이나 대소변 장애 등 신경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전신 마취나 전통적인 방식의 척추 수술이 부담스러운 고령자, 만성 질환 환자 등에게도 유용하다.

최소 침습 방식의 척추 수술은 단방향 척추 내시경도 있다. 하지만 하나의 구멍으로 내시경과 수술 도구를 모두 투입해야 하는 단방향 척추 내시경과 달리 양방향 척추 내시경은 병변 양쪽에서 내시경 장비와 수술 도구를 각각 분리하여 투입하기 때문에 더 넓은 범위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실제로 더 다양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최소 절개로 기존 척추 수술의 단점을 보완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을 통해 만성적인 허리 통증을 개선하고 일상의 행복을 회복하기 바란다.

(글 : 박흥식 수원 매듭병원 신경외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