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이 당뇨병콩팥병(당뇨병신질환)을 앓고 있으며, 신장 기능 저하 위험이 크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연구팀은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당뇨병 환자가 신장내과 진료를 받으면 신장 기능 감소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와 윤동환 교수 연구팀은 2형 당뇨병 환자 약 3만 명을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추적 조사하고, 신장내과 진료가 당뇨병 환자의 신장 기능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신장내과 진료를 받은 환자는 진료를 받지 않은 환자보다 신장 기능 감소 속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콩팥병은 가장 흔한 신장질환 중 하나로, 투석이 필요한 말기콩팥병 환자의 절반 이상이 당뇨병에서 비롯된다. 당뇨병 환자에서 신장 기능(사구체여과율, eGFR)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

신장내과 진료 의뢰 전후 eGFR 변화율 비교. 진료 의뢰 이전(좌측 주황색)에는 eGFR 변화율 효과가 0에 가까우므로, 신장 기능 감소 속도가 큰 변화 없음을 시사함. 반면 의뢰 이후(우측 파랑색)부터 eGFR 변화율 효과가 양수로 바뀌므로, 신장 기능 저하 속도가 둔화됨. (서울대병원 제공)
신장내과 진료 의뢰 전후 eGFR 변화율 비교. 진료 의뢰 이전(좌측 주황색)에는 eGFR 변화율 효과가 0에 가까우므로, 신장 기능 감소 속도가 큰 변화 없음을 시사함. 반면 의뢰 이후(우측 파랑색)부터 eGFR 변화율 효과가 양수로 바뀌므로, 신장 기능 저하 속도가 둔화됨. (서울대병원 제공)
연구팀은 신장내과 진료 전후의 eGFR 변화율을 분석한 결과, 신장내과 진료를 받은 환자에서는 신장 기능 감소 속도가 연간 약 5 이상 줄어들었으며, 특히 신장 기능 악화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이 감소 효과가 10까지 나타났다. 신장내과 진료를 통해 적절한 약물 처방과 치료가 이루어진 것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에 따르면, 신장내과 진료는 신장 기능을 보존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투석이 필요할 정도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승석 교수는 "신장내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신장 기능을 보호하고, 다른 신장질환을 진단해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왼쪽부터) 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윤동환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왼쪽부터) 한승석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윤동환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이번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서 신장내과 진료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줬으며, 조기에 신장내과 진료를 받는 것이 당뇨병콩팥병의 예방과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대한신장학회지(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