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병원이 국립대병원 중 처음으로 입원환자가 QR코드를 통해 중간진료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중간진료비 조회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입원 환자가 병원 내에서 편리하게 진료비 중간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비대면 원무 서비스를 강화한 것으로, 환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이제 입원 중인 환자는 병동 게시판, 엘리베이터, 원무팀 창구 주변 등 병원 곳곳에 부착된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현재까지 발생한 진료비의 대략적인 중간금액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다. 별도로 키오스크나 원무 창구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 이동에 불편을 겪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중간진료비를 확인하려면 직접 창구를 방문해 구두 안내를 받거나 키오스크를 이용해야 했지만, 이번 서비스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금액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입원 중 예상 비용을 미리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특히, 장기입원이면서 고액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병원에서 중간진료비 안내 시 환자나 보호자가 병동을 벗어나지 않고도 손쉽게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서비스는 종이 출력 없이 모바일 화면으로만 금액을 안내하는 ‘페이퍼리스’ 방식을 채택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부산대병원 입원환자가 병동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해 중간진료비를 조회하고 있다. (부산대병원 제공)
부산대병원 입원환자가 병동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해 중간진료비를 조회하고 있다. (부산대병원 제공)
정성운 부산대병원장은 “부산대병원은 환자 중심의 진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서비스는 공공의료기관으로서 디지털 활용과 ESG 경영을 실현하는 대표 사례”라며 “앞으로도 환자 불편을 줄이고 더 나은 의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대병원은 기존에도 ‘부산대학교병원 앱’을 통해 진료 대기 순서, 검사결과, 처방약 조회는 물론, 입원 환자의 수술 진행 상황, 병원 식단과 영양상담, 퇴원 시 약 정보까지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 QR 조회 서비스는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의 연장선에서 도입된 새로운 시도로, 향후 환자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