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걸러 하루 소화불량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의심해야 하는 게 있다. 바로 기능성소화불량이다.

소화불량은 위장에 분포하는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 발생한다. 위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 위의 활동 자체가 줄어든다. 위장 기능이 약해지면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한 번 시작되면 괴로움이 크다. 식후 팽만감이 드는 것부터 시작해 구역질, 트림, 상복부 통증 등도 같이 나타난다. 음식을 잘못 섭취하거나 식습관이 불규칙할 때도 소화불량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문제는 원인을 찾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그러다 보니 치료할 때도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해 낫기까지 오래 걸린다. 위장 기능 문제인 만큼 어떤 게 원인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눈에 보이는 증상만 치료하면 일시적으로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다시 소화불량 증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증상이 아닌 본질적인 개선이 필요한 사안이다.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기능성소화불량이 나타나면 식습관 교정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과식, 야식을 피하고 자극적인 음식도 섭취하지 않는 게 좋다. 이들 모두가 위의 배출 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반면에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 과일 등 소화 작용을 촉진하는 음식을 많이 먹어야 한다. 이러한 식습관 교정으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그다음으로 위장 기능을 일으키는 데 집중해야 한다.

위장 기능이 떨어지면 소화 불량으로 이어진다. 특히 위장 내에 찌꺼기가 쌓이게 되는데 이것이 위 외벽에 딱딱하게 굳기도 한다. 이를 담적이라고 부른다.

담적은 소화불량은 물론 신경성 위염, 역류성식도염 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소화불량을 치료하려면 위장 기능을 끌어 올려 담적을 제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한방에서는 원인과 증상에 맞는 한약 처방으로 자생력을 키운다. 대표적인 게 맑음탕, 맑음환이다. 이는 심장과 간을 아우르는 한약으로 위장의 연동 연하를 끌어올려 소화 기능이 향상되도록 돕는다.

또한 연동 연하 기능을 높이는 만큼 적당한 운동, 음식을 잘게 씹어먹는 습관 등도 같이 교정이 돼야 한다. 이를 병행하면 만성화가 되기 전에 소화 기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글 :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