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은 50대에 자주 겪는 어깨질환으로 어깨 견(肩)자를 사용한다. 의학적 용어로는 어깨의 ‘유착성 활액막염’ 또는 ‘동결견’으로, 원인은 정확하지 않지만 여러 원인으로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막이 염증으로 인해 붓고 딱딱해져 통증과 운동제한이 심한 증상을 유발한다. 운동제한을 심하게 일으키기 때문에 얼음처럼 굳는다는 표현으로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양치질할 때 머리를 숙여서 해야 편하게 느껴지고, 옷소매에 팔을 넣을 때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며, 심한 경우 화장실에서 변을 닦기가 힘들 정도로 통증이 나타난다면 오십견을 의심해봐야 한다.

오십견은 회전근개 파열과 혼동하기 쉬운데 회전근개 파열의 경우 어깨를 움직이는 힘줄이 파열됐기에 타인이 팔을 앞으로 들어올리게 도우면 완전히 올라가고 혼자 힘으로 팔을 들어올릴 때는 완전히 올라가기는 하나 힘이 빠지게 된다. 반면 오십견은 관절막의 유착이 원인이기 때문에 타인이 팔을 전방거상 했을 때에도 완전히 올라가지 않고 혼자 힘으로도 유착에 의하여 어느 각도 이상으로는 들어올릴 수 없는 운동제한이 특징이다.

두 질환 모두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구분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회전근개 완전파열의 근본적인 치료는 파열된 힘줄을 해부학적으로 봉합해주는 수술적 치료지만 오십견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치유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만 오십견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치유된다고는 하지만 염증치료나 스트레칭 등의 운동치료를 전혀 하지 않고 증상을 방치하면 통증이 지속되거나 영구적인 운동제한과 같은 후유증이 올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요한다.

특히 통증이 너무 심하여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자연치유기간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보존적 치료(주사치료, 운동치료)에도 잘 낫지 않을 경우, 운동제한이 너무 심한 경우, 어깨를 사용하는 직업인데 너무 오랜 치료시간이 걸려서 직업 생활이 어려운 경우에는 빠른 회복을 위하여 관절경시술을 하기도 한다.

관절경 시술은 위내시경이나 대장 내시경의 원리와 같이 어깨관절에 5mm정도의 3개의 구멍을 만들어 카메라 내시경을 삽입해 염증이 심하거나 유착이 심한 관절막을 직접 시술자의 눈으로 확인해 염증을 제거하고 유착을 풀어주는 방법이 적용된다. 20~30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하루 정도의 입원이 필요하다. 빠른 시간 내에 통증 완화와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할 수 있고 빠르게 일상생활이나 직장생활로의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정성훈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팀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정성훈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팀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정성훈 연세사랑병원 어깨관절팀 대표원장은 “어깨관절내시경은 전문성을 요하는 시술이기에 반드시 경험 있는 병원이나 의료진과 상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