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제공)
(연합 제공)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신약 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R&D 비용을 점진적으로 늘리며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지난해 연구개발 비용을 전년 대비 대폭 증가시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연구개발 비용으로 약 3900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수준이며, 2022년과 비교하면 46% 늘어난 수치다.

셀트리온역시 R&D 투자 확대에 나섰다. 지난해 약 43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입했다. 이는 전년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다만 2022년과 비교하면 5% 증가에 그쳤다.

유한양행은 R&D비용으로 약 2700억원을 사용하며 2023년 대비 38%, 2022년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웅제약도 약 2300억 원을 투자하며 전년 대비 13%, 2022년 대비 16% 늘어난 연구개발 비용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종근당과 한미약품 등 주요 제약사들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며 신약 개발과 글로벌 시장 공략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약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서 R&D 투자가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 정책과 맞물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며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신약 개발을 위해 R&D 투자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정책연구센터가 발표한 ‘임상시험 산업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제약사 96곳의 연구개발 비용은 약 3조 2000억 원으로 1년 사이 3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연구 범위를 일반 제약사 76곳과 바이오벤처 97곳을 포함한 173개 기업으로 넓히면, 2023년 총 R&D 투자액은 4조 99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15.8%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