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월 87만7935명 무릎 관절증 환자가 3월 96만6677명, 4월 1백15만297명 5월 1백35만88명까지 증가했다. 이는 매년 3~5월에 무릎 관절염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허동범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은 “겨울 동안 줄어들었던 신체 에너지가 봄이 되면서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활동량 증가한다. 문제는 겨울 동안 줄어든 활동량으로 인해 관절과 근육이 경직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증가한 활동량이 무릎에 부담을 준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관절염 초기 증상이 발현되거나 기존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봄철 야외 활동을 건강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무리한 활동량 증가를 피하고 본인의 체력에 맞게 운동을 선택해야 한다. 걷기, 실내 자전거, 수영 등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체중 부담을 덜 주는 운동이 효과적이다. 또한 활동량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10%씩 서서히 증가시키고, 예를 들어 가벼운 산책 → 속보⟶ 가벼운 조깅 ⟶ 등산 순으로 단계별로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전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부상을 예방해야 한다.
이미 무릎에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동을 하면 염증이 심해지고 관절 손상이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치료나 주사치료로 통증을 먼저 조절한 후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럴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히알루론산 주사는 뻑뻑한 무릎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도와주는 관절 윤활제 역할을 해 통증을 줄여주며, 프롤로 주사는 무릎 주변 인대와 힘줄을 강화해 관절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통증이 완화되면 걷기, 스트레칭 등 저강도 운동부터 시작해 서서히 강도를 높여야 하며, 운동 후 무릎이 붓거나 통증이 3개월 이상 계속된다면 정밀 검진을 통해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적정한 체중 유지도 관절염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요소다. 체중 1kg 증가 시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은 4kg 증가하므로 체중 관리만으로도 무릎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허동범 병원장은 “봄철 야외활동을 즐기기에 좋은 계절이지만, 갑작스러운 활동량 증가와 잘못된 운동 습관은 관절염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서서히 운동량을 늘리고 체력에 맞는 운동을 선택하며 통증이 있는 경우 무리하지 말고,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후 운동을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