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에게 척추질환은 익숙하다. 대표적인 예로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이에 대해 홍현종 서울연세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척추질환 중 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혼동하기 쉽지만, 발생 연령대와 증상이 다르다"고 말했다.

허리디스크는 주로 젊은 층에서 발생하며, 반복적인 피로나 외상으로 인해 디스크가 탈출하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엉치 부위의 통증이 동반된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중년 이후에 많이 발생하며, 허리보다는 걸을 때 악화되는 엉치나 다리의 통증과 저림 증상이 특징이다. 그러나 두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홍 원장은 "척추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모두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우선 시행하며, 물리치료와 신경 차단술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척추디스크는 추간판 성형술, 척추관협착증은 경막외 신경 성형술이나 풍선 신경 성형술을 고려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심각한 증상인 하지마비나 대소변 장애가 있을 때만 수술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또한 척추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이 중요하다. 홍 원장은 "오랜 시간 앉아 있지 말고 중간 중간 스트레칭을 하며,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을 구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지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은 척추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