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
(사진=연합)
의료진 관련 지표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전국 97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2주기 1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필수적인 신장대체요법 중 하나로, 노령 인구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인해 혈액투석 환자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23년 평가 대상 환자는 4만3664명으로, 2009년의 1만7720명에 비해 146.4% 증가했다.

심평원은 2009년부터 혈액투석 환자와 그 가족이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정성 평가를 시행해왔다.

이번 평가는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전국 972개 의료기관의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평균 종합점수는 82.4점으로 집계됐다.

의료기관 유형별로는 상급종합병원이 평균 95.8점, 종합병원이 85.6점, 의원이 82.0점을 기록했다.

의료진 관련 지표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혈액투석 전문의 비율은 75.0%로 이전 평가 대비 1.2%p 상승했으며, 혈액투석 경력 간호사 비율도 76.3%로 1.6%p 증가했다. 또한, 의사 1인당 하루 평균 투석 건수는 25.4건으로 이전보다 소폭 감소했으며, 간호사 1인당 하루 평균 투석 건수도 4.9건으로 0.4건 줄었다.

특히, 수질검사 실시 주기를 충족한 의료기관의 비율은 94.7%로 이전 평가 대비 3.7%p 향상되었다. 정기검사 실시 주기 충족률은 99.0%로 소폭 상승했으나,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94.7%로 0.2%p 하락했다.

전미주 심평원 평가운영실장은 "다음 평가에서는 외래뿐만 아니라 입원 영역까지 포함한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를 공개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여 환자 안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