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거나 특정 음식에 의존하는 것은 금물
지압으로 증상 완화, 맞춤형 한방치료로 삶의 질 향상
소화불량은 상복부의 통증과 불편감을 유발하는 흔한 증상이지만, 중증질환의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내시경‧혈액검사 등 각종 정밀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을 의심해봐야 한다

위장관의 운동량은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위장관 운동이 저하되는 반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위장관 운동이 활발해진다. 급격한 온도 변화와 추위에 대한 지속 노출은 교감신경을 활성화해 위의 활동성을 감소시킨다.
정해인 교수는 “소화불량 증상을 겪는 대다수는 방치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아낸 잘못된 상식을 생활 속에 적응하며 증상이 개선되기를 기대한다”며 “하지만, 반복되는 증상의 호전과 악화는 일상과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의학에서는 소화불량의 원인을 식적(식체), 담음(노폐물 축적), 칠정(스트레스), 음허(진액 부족), 양허(양기 부족)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맞춤형 한약 처방, 침 치료, 뜸 치료 등을 시행한다.
대표적으로 침과 전침(침+미세전류)치료는 위장관의 운동성 개선에 도움을 주며, 뜸 치료는 복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더부룩함,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해준다. 이외에도 소화기와 밀접한 ‘등 부위’ 혈자리를 자극해 긴장을 풀어주고 소화기 건강 개선을 도모하는 부항치료가 있다.
정 교수는 “소화불량이 만성으로 진행되는 데는 과식, 자극적 음식, 과도한 음주와 카페인, 불규칙한 생활 습관, 스트레스, 약물 복용, 활동량 감소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며 “본인의 소화불량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함께 해나간다면,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 내관혈(손목 안쪽, 손목 주름에서 세 손가락 폭 정도 위에 위치한 부위)
- 메스꺼움과 멀미 이외에도 항암/수술 후 오심, 임신부의 입덧 증상 완화에 효과적
2. 합곡혈(엄지와 검지 사이 솟은 부위), 태충혈(첫번째와 두번째 발가락 사이 오목 부위)
- 급체 했거나 과식 후 속이 더부룩할 때 위장운동 촉진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