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딤플, 신생아 5% 내외서 발견… 피부·신경 형성 과정 흔적
대부분 단순 피부 함몰이지만, 척수이형성증과 관련 있을 땐 위험
단순 딤플은 경과관찰만… 신경계 이상 동반 딤플 여부 감별 필요
위험성 판단 어려워, 반드시 병원 찾아 전문의 진료 후 대응 해야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엉덩이 딤플은 아기의 엉덩이골(천골) 주변 피부에 보조개처럼 움푹 파인 것을 의미한다. 엉덩이 보조개로도 불리는 이유다. 김민성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신생아 딤플은 태아가 자궁에서 발달할 때 피부와 신경조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흔적으로 볼 수 있다”며 “태아의 신경계는 발생 과정에서 신경관이라는 구조를 통해 형성되는데, 이 신경관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피부 함몰이나 척수 이상과 같은 기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민성 교수의 도움말로 신생아 엉덩이 딤플은 왜 생기며 어떤 경우에 병원 검진이 필요한지, 또 척수이형성증과 관련된 딤플을 감별하는 방법과 치료법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대부분의 엉덩이 딤플은 단순한 피부 변형일 뿐이지만, 일부에서는 척수의 구조적 이상을 동반할 수도 있다. 특히 딤플이 항문과 멀리 떨어져 있거나, 깊고 크며, 주변에 혈관종이나 털이 동반된 경우 척수이형성증과의 연관 가능성이 높아진다.
척수이형성증은 척수와 척추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선천적 기형을 말하는데, 이로 인해 신경이 눌리거나 당겨지면서 여러 가지 신경학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척수이형성증에는 척수지방종, 척수견인증, 선천성 피부동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김민성 교수는 “딤플에 척수이형성증 질환이 동반될 경우 신경이 손상되면서 하지 발달 저하, 감각 이상, 요실금,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다만 신생아나 어린 영아는 이러한 증상을 스스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딤플이 단순한 피부 함몰인지, 신경계 이상을 동반한 위험한 딤플인지 정확히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엉덩이 딤플, 단순 피부 변형이면 경과 관찰만… 위험군은 조기 검진 필요
단순 딤플의 경우에는 검사나 치료가 필요 없고 경과 관찰만으로도 충분하다. 피부 오목만 있고 위험한 질환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딤플이 척수이형성증과 연관돼 있고, 관련 증상이 있거나 현재 증상이 없더라도 증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서는 조기 검진과 치료가 필요하다.
위험한 딤플은 딤플이 여러 개 존재하거나 크고 깊은 경우, 항문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딤플 주변에 혈관종·털·색소 변화가 동반된 경우, 아이가 배뇨·배변 장애를 보이거나 다리 힘이 약한 경우, 신경학적 이상(척추측만증, 발 기형 등)이 동반된 경우 등이다. 이외에 아이가 빈번한 요로감염이나 배변·배뇨의 이상이 동반된 경우, 항문 기형이나 신경학적 장애가 있는 경우도 고위험군으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신경계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검사를 시행한다.
단 생후 3개월 이전에는 초음파검사로 진단이 용이하지만, 3개월이 넘은 경우에는 척추뼈가 골화돼 초음파검사에서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초음파검사는 수면 없이 쉽게 할 수 있는 검사인 만큼 생후 3개월이 지났다 하더라도 먼저 초음파검사를 하고 필요시 척수 자기공명영상검사(MRI)를 고려하도록 한다.
척수이형성증이 진단되면 관련 증상이 있는 경우나 심각한 척수이형성증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신경 압박과 척수 견인을 줄여주는 수술이 필요하다. 다만 진단 시 임상 증상은 없지만 예방적으로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전적인 요인, 신경 손상 위험, 체형 등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술 여부와 시기를 결정한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