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유형의 하지정맥류는 정맥 내 판막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거나, 혈액이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역류가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혈액이 역류하면서 정맥에 압력이 가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혈관벽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는 결국 다리의 부종, 통증, 무거움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혈관 돌출이 없는 하지정맥류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꾸준한 운동과 올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다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혈액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오랜 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어야 하는 경우, 자주 자세를 바꾸고 다리를 움직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혈액의 정체를 방지하고, 정맥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다리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도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초기에는 보존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 압박 스타킹,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등이 우선 적용된다. 하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고주파나 레이저 치료와 같은 최소 침습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증상이 점차 심해지고 다리의 통증이나 부종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혈관 돌출이 없는 하지정맥류는 외관상 변화가 없어 쉽게 간과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증상을 무시하지 말고,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예방을 통해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 : 우영민 서울하정외과 평촌점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