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신경은 허리에서 시작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연결된 신경으로, 신체에서 가장 크고 긴 말초신경이다. 이 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염증이 생기면 좌골신경이 지배하는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좌골신경통이라 한다.

초기에는 단순한 불편감으로 여겨 방치하기 쉬우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통증이 심해지고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허리와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근육 위축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보행에도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좌골신경통의 치료 방법으로는 신경차단술이 대표적이다. 이는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 주변에 특수 주사기로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이는 치료법이다. 영상증폭장치(C-ARM)를 이용해 신경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진행되므로 정밀도가 높고, 절개가 필요 없어 부담이 적다.
신경차단술은 비교적 간단한 시술로 진행되며, 회복 시간이 짧아 시술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출혈이나 마취에 대한 부담이 적어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개인에 따라 주사 부위에 일시적인 압박감이 느껴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골신경통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다리를 꼬는 습관이나 허리를 구부정하게 하는 자세는 좌골신경을 압박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허리와 하체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걷기, 가벼운 스트레칭, 요가 등의 운동은 허리와 골반의 균형을 맞추고 좌골신경의 압박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좌골신경통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글 : 송승철 광명 삼성리더스정형외과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