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를 하지 않아도, 정상 체중에게도 발생할 수 있어 평소 올바른 생활 습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207140959064196aa9cc43d0118220117100.jpg&nmt=48)
황성규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소화기내과 과장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려면 먼저 음주력과 바이러스성 간염을 배제해야 한다. 또한, 약물, 한약재, 건강식품 사용 여부와 함께 자가면역 간염 또는 윌슨병과 같은 다른 간질환을 감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복부 초음파검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는 기본적인 검사로, 간의 섬유화 정도를 확인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확진을 위해 간 생검이 필요할 수 있으나, 침습적 검사인 만큼 다른 간질환을 배제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시행된다.
지방간은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간경변이 없더라도 간세포암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지방간이 발견되면 조기 관리가 필요하다.
황성규 과장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운동과 식이요법이다. 특히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운동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최대 심박수의 5070%를 30~60분 동안 지속하는 것이 좋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체중 변화 없이도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고 지방간이 호전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급격한 체중감량보다는 1주일에 0.5~1kg의 점진적인 체중 감량이 바람직하다. 식사량을 줄일 때는 하루 필요한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며,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매일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지방뿐만 아니라 근육도 함께 빠질 수 있다.
![황성규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소화기내과 과장](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207141026070276aa9cc43d0118220117100.jpg&nmt=48)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