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에게 스마트폰과 PC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가 됐다. 하지만 장시간 전자기기를 사용하며 무의식적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내미는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목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 바로 ‘거북목증후군’이다.

거북목증후군은 정상적으로 C자 형태를 이루어야 할 경추(목뼈)가 점점 일자로 변형되면서 목이 거북이처럼 앞으로 빠져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거나 장시간 목을 숙이는 습관이 있다면 거북목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장시간 책상에 앉아 있는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차유현 남양주 도심에이스신경외과 원장
차유현 남양주 도심에이스신경외과 원장
거북목증후군이 지속되면 목과 어깨의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경이 연결된 부위까지 영향을 미쳐 두통, 어지럼증,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방치할 경우 목디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목디스크는 경추 뼈와 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추간판)가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인 목 통증과 달리 팔과 손까지 저린 느낌이 들거나 마디마디가 쑤시고 뻐근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 목을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거북목증후군이나 목디스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초기 단계에서는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을 통해 목과 어깨의 긴장을 완화하고, 경추의 정렬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정도라면 도수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도수치료는 전문 치료사가 손이나 보조 기구를 이용해 경추 및 척추의 균형을 맞추고,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 방법이다. 절개나 마취가 필요하지 않아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자연스럽게 체형 교정과 기능 회복을 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수치료는 치료사의 숙련도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경험을 갖춘 의료진에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 개선도 필수적이다.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학생이나 직장인의 경우 의식적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1시간마다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목과 어깨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화면을 눈높이에 맞춰 목이 숙여지지 않도록 하고, 한 자세로 오랜 시간 유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글 : 차유현 남양주 도심에이스신경외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