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큰 문제점이자 주의해야 할 점이 자연치유 및 재생이 어렵다는 점이다. 노후에도 건강한 치아, 잇몸을 유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 및 주기적인 스케일링 등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치아 상실은 단순 구강 건강에만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소화 불량, 위장 장애 등과 같은 전신 건강에도 좋지 않다.

임플란트는 90%의 저작력 회복과 심미적이라는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다. 다만 사람마다 남아있는 잇몸의 면적이나 식립 개수, 구강 컨디션이 달라 간단히 접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특히 치아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적용하는 전악임플란트의 경우 더욱 그렇다.

최재용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대표원장
최재용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대표원장
치아가 상실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전악임플란트를 고려하는 연령대를 보면 고령층이 대부분이다. 노화와 함께 구강이 약해져 소실되기도 하고, 과거 치과 치료가 여의치 않았던 때 방치만 하다가 손쓸 수 없게 되어버린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는 구강 상태뿐 아니라 신체 전반적인 면역 기능까지 고려해 시행돼야 한다. 수술 기간이 길고 식립 개수가 많아 몸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잇몸뼈 상태 역시 확인해야 한다. 치아가 빠진 상태로 오래 두거나 치주 질환을 오래 앓았다면 잇몸뼈가 녹아내릴 수 있는데, 고령층에서 많이 보이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양질의 잇몸뼈는 임플란트 식립의 중요한 베이스로, 이것이 갖춰지지 않으면 단 한 개를 식립하더라도 안전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하물며 전체 치아를 임플란트로 대체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뼈이식을 통해 부족한 잇몸뼈를 보강해줘야 한다.

전악임플란트라고 해서 28개의 모든 치아를 인공치근으로 대신하는 것은 아니다. 상악은 8개~10개, 하악은 6개~8개의 인공치근을 고정하며, 그 위에 연결된 형태의 크라운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픽스쳐가 크라운을 단단히 묶어 틀니와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은 고정력과 저작력을 기대할 수 있다.

필요한 임플란트 식립 개수가 많을수록 더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데, 컴퓨터분석 임플란트가 좋은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 요즘에는 디지털 장비를 활용해, 정교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식립 전 환자의 잇몸뼈 상황, 식립 각도, 간격, 신경, 혈관 등을 고려해 컴퓨터로 모의수술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정교한 수술을 기대할 수 있다.

전악임플란트는 치료 범위가 넓고 환자의 잇몸뼈 상태와 시술 부위, 환자의 연령, 전신 질환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 수술인 만큼, 자세한 상담을 통해 살펴보고 진행하는 것이 좋다. 어디까지나 의료진의 실력, 노하우가 뒷받침돼야 하며 컴퓨터분석 임플란트 수술 경험을 보유한 실력 있는 의료진에게 직접 받아야 하며, 1:1 맞춤 치료가 적용돼야 한다.

(글 : 최재용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대표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