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세 여성 A씨는 최근 몇 주간 지속적인 허리 통증에 시달렸다. 처음에는 단순 요통으로 여겨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통증이 점차 심해져 숙면을 방해하고 다리 저림 증상까지 동반되자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녀의 진단명은 ‘척추 종양’이었다.

척추는 우리 몸의 기둥 역할을 하며, 중추신경인 척수를 보호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크게 척추뼈(골격)와 그 내부를 지나는 척수로 구성된다. 이 척추에 발생하는 종양은 크게 척추뼈에서 발생하는 ‘척추뼈 종양’과 척수 및 신경에서 기원하는 ‘척수신경 종양’으로 나눌 수 있다.

허리통증은 일상생활 중 흔히 나타날 수 있지만 긴 시간 지속되거나 등, 목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면 척추종양을 의심해 봐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허리통증은 일상생활 중 흔히 나타날 수 있지만 긴 시간 지속되거나 등, 목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면 척추종양을 의심해 봐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척추 종양은 발생 원인에 따라 원발성 종양, 전이성 종양, 유전질환에 의한 다발성 종양 등으로 구분한다. 가장 흔한 형태는 다른 장기에서 척추로 전이된 전이성 종양으로, 특히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이 척추로 잘 전이된다.

원발성 척추 종양에는 척추뼈에서 발생하는 골육종, 척삭종과 같은 종양부터 척수 내부에서 자라는 성상세포종, 뇌실막세포종, 그리고 경막 내 척수 외 부위에 생기는 수막종, 신경초종 등이 있다. 종양 종류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지지만, 대부분은 수술을 통한 완전 절제가 예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된다.

척추 종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지속적인 등, 허리, 목 통증이다. 종양이 커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면, 해당 신경 지배 영역에 따라 다리 혹은 팔 저림, 감각 저하, 근력 마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초기에는 일반적인 요통이나 목 통증과 비슷하게 시작되므로, 단순 근육통으로 오인하기 쉽다. 그러나 휴식 중이거나 가벼운 움직임만으로도 통증이 심해지고 수주 이상 지속된다면, 의료진 진찰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 검사가 필수적이다. 만약 전이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PET-CT 등 원발암을 찾기 위한 추가 검사가 병행된다.

척추 종양의 치료는 종양의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원발성 척추 종양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완전 절제가 어려울 경우 종양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 등을 고려한다.

전이성 척추 종양은 일반적으로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병행해 원발암과 함께 종양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만약 종양으로 인해 신경이 압박되거나, 척추가 지지대의 역할을 하지 못할 정도로 약화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허준석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
허준석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
허준석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척추 종양은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등, 허리, 목 통증이 몇 주 이상 지속되거나, 통증이 다리 저림처럼 다른 신경 증상으로 이어진다면 신경 압박의 신호일 수 있으니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허 교수는 “척추 종양은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며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해 환자의 전신 상태와 종양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치료법을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씨의 사례처럼 평소와 다른 통증이 지속되고 악화된다면, 단순 요통이라고 지나치지 말고 신속하게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척추 종양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므로, 허리나 등, 목 통증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새로운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