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원인과 증상으로 나타나는 어지럼증, 정확한 진단과 치료 필요

어지럼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증상이지만, 그 양상과 원인은 매우 다양해 진단과 치료에 신중함이 요구된다. 특히 일부 경우에는 심각한 뇌 질환의 신호일 수 있어 정밀 검사가 필수적이다.

신경과를 찾는 환자들 중 상당수는 어지러움을 호소한다. 윤영신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신경과 과장은 "어지러움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문진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환자들이 흔히 표현하는 증상으로는 빙빙 도는 느낌(현훈), 걸을 때 비틀거림, 기절할 듯한 아득함 등이 있다. 어떤 환자는 머리가 무겁고 띵하거나 빈혈로 인한 느낌이라고 묘사하기도 한다.

일상생활 속 누구나 겪을 법한 어지럼증, 삶의 질에도 영향 끼칠 정도라면 즉시 의료진 찾아 정확한 원인 파악해야 (클립아트코리아)
일상생활 속 누구나 겪을 법한 어지럼증, 삶의 질에도 영향 끼칠 정도라면 즉시 의료진 찾아 정확한 원인 파악해야 (클립아트코리아)
대표적으로 현훈은 주변이나 자신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으로, 주로 머리를 움직일 때 악화되며 귀의 평형기관 이상이나 뇌 문제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반면 걸을 때 비틀거리는 균형장애는 눕거나 앉아 있을 때 증상이 없으나 일어섰을 때 균형 잡기가 어려운 상태로, 이는 뇌 병변이나 척수 손상 등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유형인 실신성 어지러움은 의식을 잃지는 않으나 기절 직전 같은 느낌을 동반하며 눈앞이 캄캄해지고 식은땀이 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심장 문제나 저혈당 등 내과적 원인이 주된 이유다. 뿐만 아니라 '머리가 띵하다', '공중에 뜬 기분'처럼 구체적이지 않은 비특이적 증상의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나 약물 부작용 등에서 기인할 수 있다.

윤영신 과장은 "갑작스러운 어지러움이 발생하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증상이 뇌 질환과 관련돼 있는지 감별해야 한다"며 "두통, 균형 장애, 언어장애, 팔다리 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징후가 동반된다면 즉각적인 의료진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신 서남병원 신경과 과장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제공)
윤영신 서남병원 신경과 과장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제공)
대부분의 어지럼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지만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또한 급성기에 움직임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을 취하고 필요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윤 과장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어지럼증의 원인과 양상을 자가 진단으로 넘기기보다는 전문의를 통해 근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며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