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모 부산 좋은강안병원 핵의학과 과장은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과장은 “갑상선 세포는 요오드를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방사성 요오드를 이용하면 남아 있는 암세포에만 표적 치료를 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암 조직을 제거하는 치료법”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일반적으로 전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수술 후 잔존암의 존재 또는 림프절전이를 동반하고 있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시행한다. 특히 유두암과 여포암 같은 분화성 갑상선암에서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미분화 갑상선암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과장은 “타이로젠 주사를 활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장기간 중단하지 않고도 치료를 받을 수 있어, 갑상선호르몬 중단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며, “오랜 치료경험을 통해 치료 전 후 겪을 수 있는 여러 불편한 증상들을 최대한 조절하여 환자들이 더 편하고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갑상선암은 재발 가능성이 있지만,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갑상선암은 예후가 좋은 암으로, 분화성갑상선암은 전이가 동반됐다 하더라도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해 매우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