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닉스 웨스트 2025에서 포노젠의 혁신적 성과 공개

동성제약은 지난 2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적 광학 포토닉스 학회 '포토닉스 웨스트 2025'에서 자체 개발한 신약 광민감제 포노젠(DSP 1944)의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광역학 진단-AI 유도 복강경 검사를 통한 복막암의 진단 정밀도 향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암진단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

동성제약 CI (동성제약 제공)
동성제약 CI (동성제약 제공)
포노젠은 기존 국제복막암학회(PSOGI)와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도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복막암 타겟팅을 자동화하는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기술적 진보를 이룬 점이 주목받았다. 연구에 따르면, 기존 복강경 검사 방식의 민감도가 84.2%였던 반면, PDD(광역학진단)를 적용하면 민감도가 93.9%로 증가했으며, 실시간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테스트에서는 민감도가 기존 75.7%에서 최대 100%까지 상승했다. 이는 전이성 복막암 발견의 정확성을 크게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발표가 단순히 포스터 형식이 아닌 구술 발표로 진행된 점 또한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동성제약은 이를 바탕으로 복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단계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예정이다.

포노젠은 빛의 파장을 달리 적용해 암 진단 시약(405nm)과 암 치료제(665nm)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암진단 및 치료 시장 모두를 겨냥한 투트랙 전략으로 신약 개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동성제약은 췌장암 치료제를 비롯해 다양한 항암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는 국내를 대표하는 광역학진단(PDD) 및 치료(PDT) 분야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며 글로벌 항암시장 내 입지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