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아토피’의 주된 증상은 목과 이마, 눈 주위, 손과 손목 등 전 부위에 나타나 참기 어려운 가려움증이다. 발병 초기에는 붉어진 피부에 건조감과 상대적으로 약한 가려움이 나타나지만, 그 증상인 가려움증은 급속도로 심해지고 진물이 흐르는 등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질환은 유아기 및 소아기에 많이 나타나지만, 최근에는 불규칙한 식습관 및 스트레스, 주거환경, 환경호르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성인기까지 이어지거나 성인이 돼서 새롭게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질환이다.
가려움은 많은 환자들이 참기 어려운 증상이다. 만약 환부를 긁게 되면 피부가 단단해지고 합병증을 유발하며, 병변에 병균이 침투해 만성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부에 자극을 주는 행위는 금해야 한다.
또한 외관상으로 보기 좋지 않아 심리적인 문제로 고생할 수 있다. 병변을 타인에게 보이기 어려워 우울감, 무력감 등 심리적인 고통을 겪을 수 있고, 극심한 가려움은 수면에 방해를 끼쳐 평소 일상생활에서의 애로사항이 될 수 있다.
아토피는 높은 유병률로 인해 다양한 치료법이 존재하는 질환이다. 흔히 시행되고 있는 치료법으로는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제나 항생제, 소염제 등 독성이 강한 약제 치료가 있다. 하지만 위 치료들은 일시적인 염증 제어는 기대할 수 있지만, 재발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한의학에서 분석한 아토피 발병 원인은 신체 내부의 문제가 복합돼 증상이 피부 겉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외부 병변을 없애는 것이 아닌 면역력을 강화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치료를 적용하고 있다.
치료는 환자의 신체가 스스로 정상적인 피부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 한약을 통해 피부에 쌓여 있는 독소, 열기, 염증을 배출시켜주며, 침 치료를 발생 부위에 직접 시술해 피부 면역체계 활성화 및 재생, 한약 액을 질환 부위에 주입해 염증을 억제 및 약침 치료를 겸해 피부 조직을 재생시킨다.
다만 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올바르게 시작 및 진행했지만, 초기에 증상이 호전돼 완치됐다고 착각해 치료를 멈추는 경우도 많다. 아토피는 재발성 질환이므로 방심할 수 없으므로 끝가지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치료와 함께 평소 청결 유지, 보습, 식습관 개선, 음주와 흡연 자제, 적절한 운동을 통한 스트레스 조절을 통해 신체 밸런스를 유지해 주는 것이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글 : 김의정 생기한의원 안양점 대표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