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어깨통증은 한 번쯤 경험해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흔한 질환은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이다. 이 두 질환은 50세가 넘는 중장년층에서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어깨 질환이다. 오십견, 즉 유착성 피막염은 50세 전후에서 호발하며 오십견으로 알려져 있다. 어깨관절을 싸고 있는 어깨 관절막의 염증으로 통증이 오고 염증상태가 지속되면 관절막이 두꺼워지고 유착이 생겨 관절운동의 제한이 오는 질환이다.

김철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김철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다행인 것은 오십견은 꾸준한 견관절 스트레칭을 시행한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 치유가 된다는 점이다. 다만 자연 치유 과정이 2년여가 소요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주사치료 및 스트레칭에도 야간통과 운동 제한이 심하거나 오래간다면 어깨 관절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어깨 관절내시경으로 염증을 제거하고 유착이 심한 관절막을 풀어주면 통증이 완화되고 어깨관절의 운동회복과 함께 빠른 시간 내에 직장업무 등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회전근개파열은 어느 날 갑자기 오는 게 아니다. 회전근개파열은 어깨를 회전시키는 힘줄이 끊어지는 질환인데,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외상으로 인해 힘줄이 끊어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생각과 달리 회전근개파열은 퇴행성 변화, 즉 힘줄이 노화되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머리 위로 어깨를 움직이는 활동을 많이 하는 직업(인테리어종사자, 화가, 목수, 야구투수 등)이나 운동선수 (테니스 선수, 야구투수), 혹은 헬스를 많이 하는 경우에는 20대 후반이나 30대의 젊은 나이에도 회전근개파열이 올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힘줄의 부종, 건염, 섬유화를 거쳐 회전근개 부분파열이 생긴 후 방치하면 완전파열로 진행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회전근개파열은 고령에서 어느 날 갑자기 오는 것이 아니고 30대부터 서서히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비교적 파열이 심하지 않은 회전근개파열 초기에는 약물이나 주사, 체외충격파 치료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존 치료의 효과가 없고 파열의 크기가 크다면 오십견과 마찬가지로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회전근개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회전근개봉합술은 가느다란 내시경을 삽입해 손상 부위를 직접 관찰하며 봉합하는 치료이다. 파열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봉합술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파열이 작을 경우 일렬로 꿰매는 단순봉합을 실시할 수 있다. 단순봉합 외에는 이열봉합, 교량형봉합 등이 있는데 파열의 크기가 클 때 시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회전근개봉합술 도중 PRP(자가혈소판 풍부혈장)를 함께 시행하는 치료도 있다. PRP 속 재생 성장인자를 이용해 손상 부위에 주입하면 재파열 확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김철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회전근개파열 범위와 탄력성을 고려해 상처가 잘 아물고, 재파열이 일어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