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들이 1주 평균 22시간, 하루 최소 3시간 이상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20~30대 상당수가 스마트폰 없이 중요 약속이나 전화번호를 기억 못하는 경향이 증가 추세”라고 한다.
류창환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신경과 전문의는 “디지털 발달로 가족과 친구 연락처나 생일 등 중요한 일정을 뇌가 아닌 스마트폰이 대신 기억해주면서 뇌를 사용하지 않게 돼 치매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라며 “직장, 학교에서 겪는 대인 관계나 업무 스트레스 역시 기억력 감퇴를 부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전했다.
◇영츠하이머, 젊은 층의 스마트 기기 과의존이 주범
영츠하이머는 젊은 사람들이 마치 알츠하이머에 걸린 것처럼 심각한 기억력 감퇴와 집중력 저하, 인지 기능 장애를 겪는 것을 뜻한다. 인터넷 검색 창을 띄워 놓고 검색 내용을 잊거나,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앱을 켜고 무슨 말을 할지 잊어버리는 식이다.
젊은 층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과도하게 의존하면서 뇌에서 담당 할 기억력을 디지털 기기가 대신하며 뇌 기능이 약화돼 기억력 감퇴를 불러온 것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젊은 층은 여러 가지를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을 자랑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한 번에 두 가지 이상 일을 하는 멀티태스킹은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평소 TV를 시청하면서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는 등 여러 종류의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멀티태스킹은 뇌의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오히려 단기 기억과 주의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입시를 앞둔 수험생과 직장인들은 스트레스로 우울감을 느끼고, 이는 코르티솔 수치를 높여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과도한 음주 역시 원인. 음주 자체도 뇌 기능을 떨어뜨리지만 과음으로 블랙 아웃을 자주 경험하면 뇌 기능 저하로 향후 치매 원인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디지털 치매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화할 때 거의 메신저 앱이나 메일을 통해 주고받는다.
2. 같은 얘기를 반복한다는 소리를 주위에서 자주 듣는다.
3. 전화번호는 회사와 집 번호 밖에 기억하지 못한다.
4. 전날 먹었던 음식 메뉴가 기억나지 않는다.
5. 자동차 내비게이션 사용 후 지도 보는 습관이 없어졌다.
6. 애창곡임에도 가사를 보지 않으면 노래 부를 수 없다.
7. 서명할 때를 제외하고 손 글씨를 거의 쓰지 않는다.
8. 처음 만났다고 생각한 사람이 알고 보니 이전에 만났던 적이 있다.
9. 아는 한자나 영단어 뜻을 자주 까먹는다.
0. 집 전화번호임에도 가끔 까먹는다.
10개 항목 중 2가지 이상 해당된다면 디지털 치매를 의심할 수 있다.
◇영츠하이머 예방, '디지털 디톡스' 실천하세요.
디지털 치매가 장기화되면 기억력 감퇴와 인지 기능 장애가 심화 돼 실제 조발성 치매로 이어질 수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불필요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이고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각종 기기들의 사용 시간을 정해두고 사용 시간 제한 설정 등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한다.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1.1.1 운동’도 도움이 된다. 일주일에 1회, 1시간씩 휴대전화를 끄자는 캠페인으로 조금씩 스마트 기기 의존도를 줄이자는 의미다. 또 충분한 수면과 휴식, 운동 등 건강한 생활 습관도 뇌 기능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SNS 보다는 동호회 활동 등 사람들과 직접 만나 사회 활동을 하는 것도 좋다. 뇌에 좋은 영향을 주는 과일과 채소, 견과류, 등푸른 생선 등을 섭취하고 오메가3 지방산도 뇌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된다.
류창환 신경과 전문의는 “스마트폰 대신 메모장에 직접 적는 습관을 들이고 독서, 악기 연주, 다이어리 작성, 체스, 바둑 등 머리를 쓰는 취미 생활은 뇌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깜빡 잊는 횟수가 잦거나 기억을 찾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출처: 일본 고노 임상의학연구소)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