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서 슬개골탈구로 인해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강아지들이 많아졌다. 야외 산책을 나가는 빈도가 줄어들면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만약 야외에서 생활을 하더라도 다른 계절에 비해 추운 날씨에 몸이 굳은 상태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슬개골이 탈구될 확률은 더 높아진다. 고양이도 예외는 아니다. 강아지에 비해 관절이 유연해 슬개골 탈구 발생 확률이 적을 뿐, 미끄러운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높은 곳에서 점프하다가 슬개골 탈구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다리가 짧은 품종묘나 뼈가 얇고 가벼운 소형견들은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다.

윤영목 삼성동물병원 원장
윤영목 삼성동물병원 원장
슬개골은 무릎 관절에 위치한 작은 뼈로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슬개골은 활차구라고 하는 홈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 슬개골이 선천적인 구조적 원인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제자리가 아닌 내측이나 외측으로 빠지는 질환을 슬개골탈구라고 한다.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탈구되면 보행이 불편해지고 통증을 호소한다. 따라서 슬개골 탈구 발생 시 식욕 및 활동성 저하, 산책 거부, 한쪽 다리를 들고 걷은 깽깽이 걸음 등의 증상을 보이며 통증으로 인해 무릎이나 다리를 만지려고 하면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만약 슬개골탈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빠른 치료를 진행하지 않으면 다리 모양이 변형되기도 하고 십자인대파열, 퇴행성 관절염, 반월상 연골 손상 등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증상이라도 보이면 반드시 동물병원에 내원해 슬개골탈구 진단 및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슬개골 탈구는 진행 정도와 증상에 따라 총 4단계로 나뉜다. 1기는 슬개골이 탈구돼도 자연스럽게 정상 위치로 돌아온다. 2기는 1기와 달리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슬개골이 제자리로 돌아오는 단계다. 1기부터 2기 초반에는 재활과 관리를 통해 탈구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방향으로 치료가 진행된다.

3기와 4기는 슬개골이 항상 빠져 있는 단계다. 3기의 경우, 슬개골을 손으로 밀었을 때 원래 위치로 돌아가기는 하지만 금방 다시 탈구된다. 4기는 슬개골이 영구적으로 빠져 힘을 가해도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3기와 4기의 경우 슬개골탈구수술을 반드시 진행해 주어야 한다.

슬개골탈구수술 방법은 슬개골 탈구 정도에 따라 다르다. 주로 경골을 정상 범주로 당겨와 봉합하거나 경골 조면을 절단해 핀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슬개골탈구 수술 방법은 다양하다. 공통적인 목적은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 자리하도록 교정한다는 것이다.

수술 후 회복 단계에서는 보호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반려동물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거나 점프 등과 같은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상당수의 반려견, 반려묘들이 이 시기에 제대로 관리되지 못해 슬개골 탈구가 재발해 다시 수술을 받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슬객골이 탈구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만약 미끄러운 바닥에서 생활하는 경우,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치해 주고 높은 장소에 쉽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계단을 두는 것을 추천한다. 슬개골탈구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가 빠르고 수술 예후도 좋은 편이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으로 전반적인 관절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글 : 윤영목 삼성동물병원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