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는 사람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도 고통과 불편함이 동반하는 질병이다. 사실 ‘디스크’의 정확한 명칭은 ‘추간판 탈출증 (IVDD, InterVertebral Disc Disease)이다.

추간판이란, 척추 뼈들 사이에 위치한 쿠션 같은 구조로, 척추뼈의 충격을 흡수하고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다. 추간판은 외부의 질긴 섬유륜과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으로 구성돼 있다. 이 두 가지 모두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척추는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추간판 탈출증은 내부의 수핵이 제자리를 벗어나 척추관으로 밀려 나오는 질환이다. 추간판탈출증은 특히 닥스훈트, 시추, 페키니즈처럼 척추가 긴 특정 품종의 강아지에게 많이 발견된다. 고양이는 강아지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하지 않아 잘 발견되지 않고 발견되더라도 노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최재혁 닥터펫동물의료센터 원장
최재혁 닥터펫동물의료센터 원장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해 수핵이 탈줄하면 주변 신경을 압박하거나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증상이 약할 때는 단순한 통증으로 인한 활동 감소, 산책 거부, 활동성 감소 등의 모습을 보이며, 심한 경우 발등으로 걷는 너클링 증상, 배뇨·배변 곤란, 사지마비 등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반려견, 반려묘에게 위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에 내원해 추간판 탈출증을 조기에 진단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추간판탈출증은 기본 신체 검사와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그중 MRI(자기공명영상)는 추간판 탈출증 진단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MRI란, 강한 자기장을 이용해 반려동물 신체 내부를 단층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MRI 영상 진단 방법은 신경 조직과 연조직을 높은 화질로 확인할 수 있어 탈출된 수핵이 신경을 압박하는 위치와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종종 CT촬영과 헷갈려 하는 보호자들이 있다. CT촬영은 X선을 이용해 골격 구조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어 뼈 손상, 골절 등을 파악하는 데 유리하지만, 연조직 해상도는 MRI보다 낮기 때문에 신경이나 추간판 손상을 평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MRI 상에서 상태에 따라 경증일 때에는 내과적(보존적)치료를 진행한다. 내과적 치료는 통증 완화와 염증 억제에 중점을 둔다. 수의사에 지시에 따라 약물을 복용해야 하며, 활동을 최소화하고 운동을 제안해야 한다. 또 전문가의 지도 아래 수영, 물리치료, 온열치료 등 다양한 재활 치료를 진행한다. 수술적 치료는 마비와 같은 신경 손상이 심한 경우,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수술 방법은 다양하나 모두 신경 압박을 풀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간판탈출증은 재발이 쉬운 데다 통증도 상당하기 때문에 평소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호자는 반려동물의 체중 유지에 신경 쓰고 강도 높은 운동보다는 꾸준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허리가 긴 품종견의 경우, 계단 오르내리기, 점프 등도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을 최소화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반려묘를 키우는 보호자도 절대 방심해서는 안 된다. 안전한 높이의 캣타워나 스트레처를 제공하고 너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거나 무리한 점프를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반려동물 추간판탈출증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 질환인 만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척추나 디스크에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MRI촬영을 반드시 매번 하라는 것이 아니다. 기본 검진에 포함된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초기 징후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반시 예방을 위한 꾸준한 검진을 받기를 바란다.

(글 : 최재혁 닥터펫동물의료센터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