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수술 후 고강도 추적 관찰 영상 검사,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 없어
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증상에 기반한 개별화된 추적관리 필요
유방암은 국내 여성에게서 가장 흔한 암으로 다른 암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 성적이 양호하다. 하지만, 일차 치료(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 후 재발의 위험이 낮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추적 관찰 검사가 필요하다.
국제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유방암 수술 후 전이 관련 증상이 없는 경우 컴퓨터단층촬영(CT), 뼈스캔 등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추적 관찰 영상 검사를 시행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의료 현장에서는 환자들이 재발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짧은 진료 시간, 낮은 의료수가 등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검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PACEN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여러 해당 분야 전문가와 함께 ‘초기 유방암 환자에서 추적 관찰 검사법의 최적화 연구' 결과를 다각도로 검토하고, 의료 현장에서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PACEN의 지원을 받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12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침윤성 유방암 환자 413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①유방암 수술 후 추적관찰 영상검사(CT, 뼈스캔 등)를 고강도로 수행한 환자군(고강도 검사군)이 저강도 검사군에 비해 원격 전이를 더 빨리 발견했으나 ②유방암 특이 생존율에는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방암 수술 후 고강도 추적 관찰 영상 검사가 전이 발견에는 유리하지만 생존율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점을 시사했다.
임상적 가치평가에 참여한 해당 분야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 전이를 빨리 발견하고자 고강도 추적 관찰 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생존 이득 없이 방사선 노출 위험을 높이고 검사 비용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환자의 병기, 조직학적 등급, 호르몬 수용체 종류 등 개별 임상적 특성과 증상에 기반한 맞춤형 추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를 위해 임상 현장에서는 환자와 의료진이 상의해 검사 전략을 수립하는 체계 마련과 함께 최적의 전이 추적 관찰 검사법(검사 종류 및 시행 주기 등)에 대한 임상 진료 지침 개발 및 공익적 임상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허대석 PACEN 사업단장은 “항암 치료 후 장기 생존하는 암 생존자가 약 200만 명에 이르렀고, 이들은 암이 언제 재발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많은 추적 검사를 받으며 생활하고 있다.”며, “향후 다른 암에 대해서도 공익적 임상 연구를 확대해 암 생존자가 얼마나 자주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임상 진료 지침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임상적 가치평가 보고서는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