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는 초기에는 귀 옆 관절 부근에서 나는 잡음 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스스로 인지하기 어렵다. 그러나 주요 증상으로는 턱 부위의 통증, 편두통, 이명, 목과 어깨의 결림 등이 있다. 특히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나거나 '지익지익', '사각사각'과 같은 염발음이 들리는 경우 턱관절 장애의 신호일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이 어려워지고, 방치할 경우 통증이 악화되며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초기 증상이라 하더라도 무시하지 말고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에서는 턱관절 장애의 다양한 증상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증상이 경미하다면 레이저나 초음파 장비를 이용한 물리치료와 운동치료 및 약물 처방이 진행되며, 교합 문제로 인해 발생한 경우 교합교정이나 교합 안정장치(턱관절 스플린트)를 사용한 치료가 이뤄진다. 또한 안면 근육 비대칭이나 이악물기, 이갈이와 같은 증상에는 저작근, 측두근 보톡스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들은 턱관절의 기능을 안정시키고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턱관절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교합 상태다. 위아래 치아의 맞물림이 문제가 있는 경우 턱관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약간의 부정교합은 턱관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심각한 교합부조화는 턱관절에 과부하를 주어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교합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치과에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외상 역시 턱관절 장애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교통사고나 낙상 등으로 인한 충격은 턱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 역시 치과에서 정밀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게 필요하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턱관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전반적인 근긴장을 일으키고 턱관절에 과도한 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본인은 인지하지 못해도 몸은 반응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심부통증유입도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지속적인 안면부 통증이나 목, 어깨 통증은 턱관절과 주변 근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통증은 치료하지 않고 참을 경우 만성화될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턱에 좋지 않은 자세와 습관도 턱관절에 과부하를 줄 수 있다. 이갈이, 턱 괴기,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자주 씹는 습관, 거북목 자세 등이 해당된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영상 시청 시간이 늘면서 턱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턱관절 장애는 개인의 적응력이나 생리적 내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같은 상황에서도 누군가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다른 사람은 문제를 겪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턱관절 질환의 원인과 그 정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스스로 모든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겨울철에는 턱관절 근육이 뻣뻣해지기 쉬우므로 목도리나 모자를 착용하고 규칙적으로 스트레칭을 해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된다. 증상이 나타난다면 조기에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턱관절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다.
(글 : 양지선 광주 광천미서울치과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