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조골은 치근을 감싸면서 치아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공치아의 뿌리가 되는 픽스처를 치조골이 단단히 감싸야 임플란트를 튼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양질의 잇몸뼈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치아가 상실된 채로 오랜 시간이 흘렀거나 이로 인해 치조골의 흡수가 많이 진행된 경우 뼈이식이 추가될 수 있다.

심각한 치주질환으로 잇몸뼈를 소실하는 경우는 중장년층에서 흔히 발생한다. 치아를 상실하고 오랫동안 치료를 미루거나, 오랜 틀니 사용으로 치아의 공백을 방치하면 치조골이 흡수될 수 있다. 선천적으로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잇몸뼈가 부족할 수 있는 만큼, 뼈이식술이 필요하다면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뼈이식에 사용되는 이식재료 종류로는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이 있다. 재료가 다앙한 만큼, 이를 수술 시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최선의 결과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간단한 뼈이식은 30분 정도로 마칠 수 있고, 완전한 회복까지는 개인에 따라 3~6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다. 상악동이 많이 내려온 경우라면 임플란트를 위해 충분한 뼈가 필요하므로 상악동을 위로 올리는 상악동 거상술이 필요할 수 있다. 복잡한 수술인 만큼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의료진의 숙련도 등을 갖추고 있는 치과를 찾아야 한다.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한 우선 조건은 잇몸 안 충분한 양의 뼈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잇몸뼈가 건강하고 튼튼해야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고, 이는 치아 상실 후 즉시 치과를 찾아야 파악이 가능하므로 빠른 내원을 권장한다.
(글 : 최재용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대표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