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중, 장년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 척추관협착증이다. 고령화에 따라 국내 척추관협착증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척추관협착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82만2204명으로, 2020년에 비해 9.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발병률이 높은데, 이는 폐경기 이후 호르몬 변화로 인해 척추 주변 조직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으로 여성 환자는 전체 환자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이 중 97.8%가 50대 이상의 여성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걷는 거리도 점점 짧아져 몇 발자국만 걸어도 쉬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척추관협착증을 방치하면 하지 근력이 약해지고 다리 감각이 떨어지면서 걷기가 힘들어지며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 여성은 뼈가 약해져 낙상 시 부상을 당하기 쉬운 위험이 있다. 따라서 허리가 자주 아프고 걸을 때 다리가 당기고 저린 느낌이 든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초기에는 자세 교정,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물리 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시행한다. 수술은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나 보행 제한이 계속될 경우에 고려되며 대부분의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초기에 비수술치료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올바른 생활 습관과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척추 관절 주변 근력을 강화하고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무거운 물건을 나르거나 허리를 과도하게 움직이는 습관은 척추에 부담을 주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하루 40~50분씩 주 3회 이상의 걷기 운동은 척추와 허리 강화에 도움이 된다. 주사치료, 도수치료 등 비수술치료를 꾸준히 하면서 일상 생활 속에서 노력을 기울이면 수술 없이도 허리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글 : 시흥 365탁정형외과 탁대현 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