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뇌가 통증에 대한 예측 신호와 실제 자극을 통합해 통증 경험을 구성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우충완 부단장과 유승범 참여교수 공동연구팀이 밝혀낸 이 같은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

이들 연구팀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해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을 통해 높은 층위의 뇌 영역에서 통증 정도에 대한 기대치와 실제 자극 세기에 대한 통합이 일어남을 확인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통증이 외부 자극에 대한 단순한 신체적 반응이 아니라 생물학적·심리학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일어난다는 점이다.

또 통증의 강도는 외부의 자극 강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기대치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함께 신호 유도 통증 조절 작업을 사용해 전체 뇌 수준에서 통증 통합 과정의 기저에 있는 계산, 조직 원리를 조사할 수 있었다.

같은 자극의 세기에도 통증이 클 거라고 예상한 피험자가 그렇지 않은 피험자보다 더 아프다는 것을 알아냈다.

뇌를 피질계층 별로 나눠 수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에선 당초 가설과 달리 열 자극에 대한 예측·실제 자극 정보가 체감각 영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 영역에도 존재했다.

즉 운동·감각 영역 등 낮은 층위의 네트워크에서도 예측 정보와 실제 자극 정보가 함께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두 정보 간 통합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나 '변연계 네트워크'와 같은 높은 층위의 네트워크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디폴트 모드는 사람이 휴식 상태에서 아무 인지 활동을 하지 않을 때 활성화하는, 이른바 '멍' 한 상태 동안 활성화하는 영역을 말한다. 변연계 네트워크는 정보와 정서 자극을 처리하는 상위 영역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통증 정보들이 어떻게 통합 되는지에 대한 수학적 원리를 밝혔다"며 "만성 통증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