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안 복시, 양안 복시 파악하고 기저질환 유의해야
- 시야 이상 발생하면 안과는 물론 신경과 진료 필요

복시는 하나의 물체가 2개로 보이거나 그림자가 생겨 이중으로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복시는 증상이 한쪽 눈에만 나타나는지, 양쪽 눈에 나타나는지에 따라 그 원인이 다르므로 눈을 하나씩 감아 보면서 어느 쪽에 복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복시는 단안 복시, 양안 복시로 나뉜다. 복시 증상이 있을 때 한쪽씩 눈을 감아보았을 때에도 복시가 나타난다면 단안 복시를 의심할 수 있다. 단안 복시가 나타나는 가장 흔한 원인은 눈의 굴절 이상, 눈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의 약화 등을 꼽을 수 있다. 노인에게서 단안 복시가 나타났을 경우에는 백내장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안구건조증, 각막의 상처, 망막질환 등이 원인일 수 있어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김주연 센터장은 "성인의 경우 보이는 것을 잘 묘사할 수 있어 복시를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아이의 복시를 진단하기는 어렵다. 아이가 눈을 많이 비비고 곁눈질을 하거나, 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이는 행동을 한다면 복시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눈을 뜨고 있을 때만 두 개로 보이고, 한쪽 눈을 감을 때 괜찮다면 양안 복시를 의심할 수 있다. 특히 양안 복시 증상이 지속해서 나타나는지,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지 잘 살펴야 한다. 양안 복시는 주로 두 눈의 정렬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신경계 문제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양안 복시가 지속된다면 신경계의 이상일 수 있다. 뇌졸중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신경계 이상으로 발생하는 복시는 사시를 동반해 눈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신경계 이상에 따라 말 또는 언어 문제, 감각상실 등 복시 이외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복시는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혈압, 뇌동맥류 등의 기저 질환과의 관련성도 의심할 수 있다.

신경과 이은주 과장은 “말초신경의 미세 손상으로 복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뇌경색이나 뇌종양 같은 뇌질환 증상일 수도 있다”며 “복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증상이므로 안구, 머리 통증이 느껴지거나 얼굴에 마비 증상이 느껴질 때,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려울 때는 빠르게 병원을 내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