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은 넓적다리뼈와 정강이뼈 사이에 위치한 C자 형태의 반달 모양 연골 조직으로, 무릎 관절 내에서 쿠션 역할을 하며,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충격을 분산시킨다. 이를 통해 관절의 마모를 방지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무릎 관절은 걸을 때마다 하중을 받으며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사용되기 때문에 자극이 많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퇴행성 변화를 촉진해 여러 가지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중장년층에게는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흔하게 발생하지만,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젊은 나이라면 반월상연골파열과 같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반월상연골파열은 주로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급정지, 점프 후 착지 등의 동작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반월상연골에 과도한 압력을 가해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 중장년층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 연골 조직이 약해지면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반월상연골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젊은 연령층에서도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데, 주로 달리던 중 갑작스럽게 방향을 전환하거나 멈추는 동작과 같은 비접촉성 충격이 원인이 된다.
반월상연골파열이 발생하면 무릎의 ‘퍽’하는 소리와 함께 무릎 통증과 부종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이러한 증상이 경미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 방치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연골의 손상 정도와 범위가 심해지면서 무릎이 뻣뻣하게 되거나 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파열된 연골 조각이 관절 사이에 끼어 관절의 잠김 현상과 운동범위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반월상연골파열은 주로 신체 검진과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진단 후 치료 방법은 파열의 위치와 정도, 환자의 나이와 활동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보존적 치료로는 휴식, 얼음찜질, 압박, 높이기(RICE 요법) 및 물리치료가 포함된다. 그러나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관절경 수술은 작은 절개를 통해 관절 내시경을 삽입하여 손상 부위를 복원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으로, 회복 시간이 짧고 효과적이다.
반월상연골파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워밍업 △적절한 운동 기법 습득 △무릎 보호를 위한 근력 강화 운동 △고강도의 운동 후 충분한 휴식 를 하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반월상연골파열은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이다. 이를 예방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무릎 관절의 건강을 유지하고 운동 생활을 지속하는 데 중요하다. 경미한 무릎 통증이라도 증상이 악화되기 전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글 : 조앤조병원 조영린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