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한국보건산업진흥원 MEDICAL KOREA ‘디지털 치료제의 현재와 미래’ 포럼 진행... 만성질환 늘어나는 미래에 모니터링에 주요 역할 기대

‘디지털치료제의현재와미래’포럼에서패널토론이진행되고있다.(왼쪽부터)이언대한신경외과디지털융합연구회명예회장,홍은심동아일보차장,송영두이데일리바이오플랫폼센터팀장,정성훈보건복지부보험급여과장,정경호에임메드DTX본부장,황성은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장
‘디지털치료제의현재와미래’포럼에서패널토론이진행되고있다.(왼쪽부터)이언대한신경외과디지털융합연구회명예회장,홍은심동아일보차장,송영두이데일리바이오플랫폼센터팀장,정성훈보건복지부보험급여과장,정경호에임메드DTX본부장,황성은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장
미래 의료시장에서 “원격진료와 디지털 치료제의 통합 모듈이 확장되어갈 것”이라는 전문가의 예측이 나왔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가 14일 ‘메디컬 코리아 2024(Medical Korea 2024)’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포럼 1 ‘디지털 치료제의 현재와 미래’를 진행했다.

해당 포럼은 국내 첫 디지털 치료제 승인 이후 디지털 치료제의 의료현장 적용 및 개발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가능성과 전망, 미래 의료 시장 선점 전략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마련되었다.

디지털 치료제란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 의사 처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일반 디지털 헬스케어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디지털치료제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유럽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 의료기기지원법'이 시행된 이래 2023년에 2개 제품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디지털치료제로 허가받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수십 개의 디지털치료제가 식약처의 승인 받고 현재 임상시험 진행 중이다.

이날 포럼의 Key note 연사로 나선 강재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교수는 “만성질환이 길어질수록 약 복용 수와 양이 많아지고 합병증이 발생하는 환자가 많은데, 이는 바쁜 의료진이 환자에게 충분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 이라며 “필요한 환자에게 디지털치료제를 처방하면 진료와 다음 진료 사이의 기간에 가정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관리 및 교육을 통한 생활습관 교정이 가능하므로 치료 성적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디지털 의료기기의 필요성을 짚었다.

국내에서 개발 중인 디지털 치료제의 해외 진출 방향으로 원격진료와 연계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심재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부교수는 “현재 임상시험계획이 승인된 국내 디지털 치료기기 제조사는 30개 이상이며, 임상 연구 허가 품목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된 업체 및 병원, 환자, 규제 기관이 활용에 대한 고민을 함께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였던 김주영 바이오뉴트리온 대표 “원격진료와 연계한 디지털 치료제의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자문기관 및 네트워킹을 통한 효율적 연계 과정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정부에서도 디지털 치료제의 관리와 활용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정성훈 복지부 보험급여과장은 “복지부는 식약처, 보건산업진흥원 등이 여러가지 평가위원회 를 구성하여 함께 통합 심사 제도를 만들고 그 가이드라인을 지난 8월에 발표한 바 있다” 며 “특히 AI와 디지털 치료기기 관련해서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제도를 참고해, 정규 등재 전 단계의 임시 제도를 운영 중으로 국내 안찰 및 해외 진출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