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매년 더 빨리 찾아오는 여름, 무더위로 인해 생수와 맥주 등 음료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안전하다고 믿고 사용하는 음료를 담고 있는 페트병 플라스틱 용기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됨에 따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 나노플라스틱 이라고도 일컫는데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최근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 중국 난카이 대학, 벨기에 헨트 대학 등 국제연구팀은 생수 속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했다. 노르웨이 시중에 유통되는 주요 4개 브랜드의 페트병 포장 생수 제품을 구매해 생수 시료를 유리 섬유 필터 여과막(구멍 지름 100㎚(나노미터)/ 100㎚=0.1㎛)으로 여과한 뒤 통과한 물을 분석, 여과막에 걸린 나노플라스틱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시료 1mL에는 미세플라스틱이 평균 1억 6600만 개 가량 들어 있었다.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크기는 88.2nm였다. 성인의 경우 하루 2L, 어린이가 하루 1L의 물을 마신다고 가정했을 때 성인은 연간 120조 개, 어린이는 연간 54조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물을 통해 섭취하는 샘이다. 크기가 1㎛ 이상이고 5㎜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생수 1mL당 0.1~1만 개가 들어있고 이를 1년 동안 마셨을 때 성인은 15만개, 어린이는 7만4000개 정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인의 경우 1주일에 신용카드 1장 정도의 플라스틱을 먹는 것과 같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왜 발생되는 것일까?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과 강상욱 교수는 “공정상의 특징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게 된다. 플라스틱을 병 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해 열을 가해 유연하게 만든 뒤 고압의 기체를 쏴 모양을 잡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플라스틱 분자 구조가 분해될 수 있다. 패트 플라스틱 분자는 물을 잘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분 함량이 0.02%만 넘어가도 가공 시 분자 사슬이 끊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페트병에 물을 채우면 끊어진 플라스틱 입자가 그대로 물에 퍼지게 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우리 몸에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은 어떻게 될까? 150μ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은 체내 흡수가 어려워 배변 활동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10~20μm의 작은 크기는 소화관 내벽은 물론 혈관벽도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혈관에 잔류하기도 하고 세포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도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아직까지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인체 유해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국내 희귀질환난치연구센터의 연구에서 생쥐를 실험한 결과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어미에서 태어난 새끼는 뇌의 구조적 이상과 뇌 신경세포 형성을 담당하는 신경줄기세포의 수가 감소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럽 등 선진국들이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임에도 현재 우리나라에는 미세플라스틱을 관리하는 기준이나 대책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지난 3월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과 사단법인 소비자기후행동이 공동으로 주관한 미세플라스틱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열었다. 미세플라스틱의 발생과 배출에 대한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제품의 제조, 수입, 판매, 사용 등을 규제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지만 현실적으로 제조비 상승으로 인한 비용상승 등 녹록지 않은 점들이 많다.

하지만 밝혀지지 않는 유해성, 이에 파생되는 국민 건강을 감안한다면 간과할 수는 없다. 현재로선 미세플라스틱을 최소한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이고 섭취도 최대한 피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제도마련, 기업의 노력 등이 꼭 필요하겠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