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시화병원 심혈관센터 김기창 센터장)

시화병원심혈관센터김기창센터장
시화병원심혈관센터김기창센터장
사람의 심장은 4개의 방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방과 방 사이에는 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판막’이 존재한다. 판막은 심장 내 혈액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판막이 열리면 피가 지나가고 피가 지나간 후에는 판막이 닫혀 한쪽 방향으로만 피가 흐를 수 있게 만든다.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존재하는 대동맥판막에 문제가 생긴 경우로, 심장이 수축한 이후 대동맥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대동맥으로 나가야 할 피의 상당량이 좌심실로 역류되어 들어오는 상태를 말한다.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의 대표적인 원인은 과거에는 류마티스성 열로 인한 판막 손상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감염성 질환이 줄어들고 평균 수명의 증가에 따른 노화로 인한 퇴행성이 가장 큰 발병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선천적 이엽성 대동맥판막이나, 대동맥 관련 기저 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은 천천히 진행되는 경우 신체가 적응하기 때문에 바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지는 않는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할 경우 좌심실이 완전히 확장되지 못해 좌심실 압력이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호흡곤란과 폐부종이 생길 수 있다.

증상이 심각해지면 피로감, 호흡곤란, 흉통 등이 생기며 특히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이 와서 똑바로 누워있기 힘들게 된다. 또한 다른 판막 질환처럼 시간이 경과하면서 심장이 확장되어 심부전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은 신체 검진상 심잡음의 존재로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심잡음이 관찰될 경우 심장 초음파를 실시하여 병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평가하게 된다. 진단 결과 심장판막질환이 발견됐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하진 않으며, 보통은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기도 한다. 간혹 심장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혈관확장제나 이뇨제, 강심제 등을 투여하는 약물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다만 중증도 이상의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6개월에서 1년의 간격을 두고 심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증상이나 신체 변화가 있을 시 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의 수술적 치료는 판막 조직을 보존하고 다듬어서 치료하는 ‘판막성형술’과 손상된 판막을 제거하고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판막치환술’이 주로 사용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