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학회 "환자의 이송 및 치료 책임지는 관제센터 필수" ... 의료인력 수급 못하면 조만간 안전망 무너져

(왼쪽부터)대한뇌졸중학회김성헌병원전단계위원장이경복정책이사배희준이사장차재관질향상위원장
(왼쪽부터)대한뇌졸중학회김성헌병원전단계위원장이경복정책이사배희준이사장차재관질향상위원장
지난해 7월 아산병원에서 뇌졸중으로 간호사에 이어 올 3월 다시 대구에서 뇌출혈 고등학생이 받아줄 병원을 찾다가 거리에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정부가 응급의료기본계획을 수립한지 25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뇌졸중 환자들는 병원을 찾다가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9일, ‘응급의료 기본계획 및 필수의료 지원 대책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이들은 뇌졸중·뇌경색은 적기에 치료 받을 경우 후유증이 거의 없이 건강하게 회복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이송 체계의 미비로 구급차 내에서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올해 초 내놓은 응급의료체계 개선책도 근본적인 해결책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 학회는 중증 환자 이송체계 문제점으로 크게 △119 구급대와 전문진료과 연계 시스템 전무 △이송 및 치료 과정을 전체 관리하는 관제 센터의 부재 △24시간 운영되는 관련 진료기관 및 의료진의 부족 △상급병원 응급실에 몰린 경증환자로 중증환자의 치료가 밀리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김태정 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서울의대 신경과)는 “119 구급대원이 병원 응급실에 연락하면 응급실 상황에 따라 환자를 받을 여력이 안된다고 거절할 수 있는데, 이렇게 응급실에서 받아줄 수 있는 병원을 찾는 과정에서 골든타임을 지나게 된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119에서 치료를 하는 전문 진료과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에 더해 환자의 최종 이송을 책임질 수 있는 관제센터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배희준 이사장은 “모든 병원이 365일 24시간 뇌졸중에 대비할 수는 없는 상황인 만큼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전문진료과를 상황을 파악하고 환자의 진단, 이송, 치료관리를 콘트롤해야 한다”며 “전체 뇌졸중 안전망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관제센터인 중앙심뇌혈관센터 지정과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전국의뇌졸중치료적정가능병원분포
전국의뇌졸중치료적정가능병원분포
응급실에서 중증환자와 경증환자를 분류해 중증환자의 치료에 적극적이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강원의대 신경과)은 “응급실에 경증환자가 몰려 중증환자의 진료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중증환자와 경증환자의 진료를 분리하고, 응급실의 일정 역량을 중증환자를 위해 할애하는 등의 시스템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중증응급환자를 위한 전문인력과 진료실 부족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됐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은 “올해 신경과전문의 시험합격자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로 지원을 했다.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 중 1개 센터에만 전임의가 근무하고 있고,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며 “지금의 추세라면 5-10년뒤 연간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의 낮은 수가가 원인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는 “종합병원 뇌졸중 집중치료실 입원료는 133,320원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실료 6인실 일반과의 171,360원 보다 낮다”며 24시간 뇌졸중집중치료실에서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도 근무 수가가 27,730원 수준밖에 되지 않아 병원에서는 사실상 뇌졸중 센터를 무리하면서까지 투자하고 운영해야 하는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고지적했다. 뇌졸중 집중치료실 수가가 간호간병통합 병실료보다 최소 1.5배 이상 상향 조정되어 필수 중증 분야가 젊은 의사들이 지원하고 싶은 분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

여기에 현재 일반질병군으로 분류된 뇌졸중을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