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대표적 질환으로는 ‘허리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척추전방전위증’이라는 질환이다. 척추전방전위증은 40~50대 중장년층, 특히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척추탈위증, 척추 미끄럼증이라고도 부른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중년 여성에게 흔한 질환이나 허리디스크 등 다른 척추질환과 오인을 해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가급적 빠르게 병원에 방문할 것을 권장한다.
해당 질환은 허리를 반듯하게 편 상태에서 척추뼈를 훑어 만졌을 때 특정 부위가 툭 튀어나온 계단식 층이 느껴지고, 그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따른다는 점에서 증상 유무를 구분할 수 있다.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폐경기 전후의 호르몬 분비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골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척추 뼈와 근육, 인대 등이 약화돼 뼈 위치가 이동을 하기 쉬워지기 때문인 것. 다만 최근에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만큼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전방전위증 치료는 척추 뼈가 밀려나온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먼저 정밀한 검사를 통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데, 전방전위가 50% 미만이라면 주사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의 비수술적인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호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방전위가 50% 이상으로 진단이 되었다면 보존적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척추유합술과 신경감압 척추고정이 함께 병행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증 정도를 파악하고, 정확한 진단 하에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척추유합술의 경우 손상된 뼈와 인대 조직을 제거 후 자가뼈나 인공뼈를 삽입해 핀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80년대부터 지금까지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척추 마디와 마디를 하나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최소 절개 등으로 손상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 뼈의 구조에 이상이 생겨 위쪽의 척추뼈가 아래뼈보다 앞으로 밀려나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허리 통증을 비롯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 전체적인 하지의 저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주로 앉았다 일어설 때,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요통이 나타나는 특징을 띄며,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나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걷고 난 뒤 나타나는 허리, 엉치뼈, 무릎 통증도 이에 해당된다. 평소 꾸준한 운동으로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 시켜 부담을 줄이는 것이 증상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글 :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김헌 원장)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