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청안과김용대원장
SNU청안과김용대원장
사람의 눈은 종종 카메라와 비유되곤 한다. 아무리 성능이 좋은 카메라라 하더라도 내부에 필름을 넣지 않으면 사진을 남길 수 없는 것처럼 우리 눈에도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조직이 있다. 바로 망막이다. 망막은 안구 가장 안쪽에 있는 투명하고 얇은 막으로, 빛을 수용하는 시세포가 밀집해 있어 우리 눈으로 들어온 빛이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중요도가 높은 부위이기 때문에 망막에 생기는 질환은 시력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한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망막열공이다.

망막열공은 망막이 찢어져 구멍이 생기면서 망막의 전체 층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안구의 안쪽은 유리체라는 젤리 같은 물질이 채우고 있으며, 유리체의 표면은 망막에 붙어있다. 그러한 유리체가 노화나 근시 등으로 인하여 액화되면서 망막을 잡아당기면 망막이 찢어지는 망막열공이 발생할 수 있다. 망막열공이 생긴 상태에서 계속 망막이 견인될 경우, 망막이 떨어지며 물이 차는 열공성 망막박리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급격한 시력 저하나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고도근시나 초고도근시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눈의 길이가 긴 편이며 그로 인해 망막이 더욱 얇게 잡아당겨진 상태가 되어 망막열공에 취약하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10대 이하의 소아 근시 환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소아 근시 환자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고도근시나 초고도근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눈 관리를 철저히 해주어야 한다. 또한 젊다 하더라도 눈 건강을 자신할 수 없는 환경이므로 나이를 떠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라면 망막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망막박리는 20대의 젊은 근시 환자와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발생률이 높은 이중 피크의 발생률을 가지기 때문이다.

망막열공은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시력이 영구적으로 저하되거나 결손될 수 있는 중대한 질환이나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환자가 자각하기 어렵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선 망막이 찢어지며 증상을 유발하는데 비문증이나 변시증, 광시증 등의 증상이 그것이다. 비문증이란 눈앞에 날파리나 먼지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이며 변시증은 직선이나 사물이 왜곡되어 일그러져 보이는 것을 말한다. 광시증은 눈앞에 번개가 치는 것처럼 빛이 번쩍거리는 증상이다.

만일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안과를 방문하여 동공을 키우는 산동제를 점안한 후 안저검사 등을 시행하고 망막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망막열공만 있거나 망막박리의 범위가 좁은 경우, 즉 초기 단계에 발견했다면 레이저 광응고 치료를 통해 구멍이 더 커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하지만 이미 망막박리가 진행된 상태라면 유리체 절제술이나 공막돌륭술 등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치료를 한다 해도 이미 손상된 시력이 완전히 돌아오진 않지만 남은 시력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치료 시기를 조금이라도 앞당겨야 한다.

망막열공이나 망막박리가 심하게 진행되어 망막이 완전히 손상되어 버리면 이를 재건하거나 복원할 길이 요원하고 시세포를 다시 살리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피해가 막대할 수밖에 없다. 초기 망막열공을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인 안저검사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며, 근시 등 위험인자가 있거나 망막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40세 이상인 경우에는 일 년에 1회 이상 안저검사를 진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글 : SNU청안과 김용대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