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27일 ‘코로나19 엔데믹의 올바른 이해와 향후 유행 대응 방안’을 발표하며 이 같은 의견을 밝혔다.
특정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을 풍토병이라고 하는데 독감과 코로나19와 같은 대부분의 호흡기 감염병은 유행과 소강상태를 반복하기 때문에 유행병이지 풍토병은 아니다. 유행병을 엔데믹으로 정의할 때는 해당 지역에서 감수성이 있는 인구 집단에서 ’기초재생산지수(R0)=1‘의 유행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신상연 위원은 “코로나19 유행 상황이 전세계적으로 좋아져서 풍토병(엔데믹)이 된 것이 아니라 더 이상 팬데믹으로 대응하기에는 경제적 피해 등이 너무 커서 풍토병도 아닌데 어쩔 수 없이 같이 공존하면서 풍토병처럼 대응해야 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됐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며 “풍토병화된 코로나19와 인류는 계속 공존하면서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풍토병화 된 것에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진 전대미문의 유행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일반적 상식은 ’변이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하면 전파력은 증가할 수 있지만 독성은 줄어들고 재감염되면 가볍게 앓고 지나간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있는 사람만 전파력이 있다‘와 같은 것이었다.
그런데 코로나19는 다르다. 첫째, 변이를 거듭할수록 전파력이 증가한다. 거기에 더해 기존 면역 회피력도 높아진다. 문제는 독성이 전혀 줄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오히려 델타 변이 때는 독성이 증가했다가 오미크론은 예전 초기 바이러스 수준의 독성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재감염돼도 가볍게 앓고 지나가지 않는다. 일부 집단에서는 위중증이나 사망률이 재감염 시 훨씬 증가한다.
셋째, 감염 후 회복됐다고 안심할 수 없다. 회복 후에도 10~40%에서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이 발생해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재감염돼도 개별 감염마다 ’long COVID‘ 비율이 줄어들지 않는다.
넷째, 독감보다 전파력이 10배 정도 강하고 치명률도 훨씬 높다. 독감과는 애초에 비교할 수도 없이 위험한 질환이다.
다섯째, 증상이 나타나기 2~3일 전부터 감염력이 있어서 무증상자를 통한 전파를 막을 수 없다. 유행 초기 대응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신 위원은 이에 대한 대응 원칙으로 크게 △어르신과 기저질환자들은 위중증과 사망의 피해를 최소화 △젊은이들은 ’long COVID‘의 피해를 최소화를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방역 정책들의 조정은 피해 최소화가 가능한 타이밍에 정교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상엽 의원은 “’확진자 7일 의무 격리‘를 5일이나 3일로 단축하면 격리 해제된 확진자를 통한 감염 전파를 피하기 어렵고 특히, 학교나 회사에서의 유행을 촉발할 수 있다”며 “굳이 조정해야 한다면 현 상황에서는 7일이라는 날짜를 조정하기보다는 마스크 정책처럼 ’7일 의무 격리‘를 ’7일 격리 권고‘로 바꾸고 꼭 필요한 경우 의사 진료 후 병가로 대응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또한 “유행의 하락기에는 확진자 증가에 의한 일시적인 집단 면역이 유행 감소를 주도하기 때문에 정책 변경의 영향력을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다”며 “향후 마스크 관련 정책이 어떻게 바뀌든 간에 국민이 자율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으면 유행은 더 자주 더 큰 규모로 올 수밖에는 없다는 점을 방역 당국에서는 잘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기적으로는 △ ’long COVID‘에 대한 연구를 장려 △해외 백신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개발 코로나19 백신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 △백신 플랫폼별로 생산 기반구축 △코로나19 치료제 국내 개발 및 사용 지원 등을 꼽았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