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2022년 한국인 당뇨병 팩트시트'에 의하면 2020년 기준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는 약 605만명이고 당뇨 전단계는 약 1,5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40%가 넘는 약 2천만명 이상이 당뇨병 위험군에 속하게 된 것이다. 코로나19 기간을 배제하고도 최근 5년간 연평균 5.6%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젊은 당뇨환자의 증가는 당뇨 공화국이 될 한국의 운명을 수십년 앞당기는데 기여하고 있다. 2021년 20대 당뇨 환자는 3만 7천명으로 지난 5년간 평균 12% 늘었다. 젊을 때 당뇨병에 걸리면 오랜 기간 고혈당에 노출되면서 시력 상실, 콩팥병 등 합병증 위험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는 "고혈당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당뇨 합병증 발생 위험도 높아지게 되고 비만까지 동반되기 때문에 혈당조절이 어렵게 된다. 젊은 당뇨가 더 위험한 이유이다."고 설명했다.
심각한 것은 당뇨 환자의 10명 중 6~7명은 자신이 당뇨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거나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자 개인의 약물치료, 식생활 개선, 운동 등 생활습관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이제는 국가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치료와 관리 대책을 더욱 강화하지 않으면 수년 내 ‘당뇨 합병증 쓰나미 현상’은 불가피할 것이란 것이 학계의 전망이다.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장기손실은 매우 치명적이다. 단일질환 국내 사망원인 1위인 '뇌졸증'은 대표적인 당뇨합병증이다. 또한 당뇨환자의 약 20%가 경험한다는 말초신경병증과 혈관병증을 동반하는 당뇨발, 특히 콩팥기능이 상실된 말기 신부전증(말기 신장병, 말기 콩팥병)은 전 세계에서 한국이 증가율이 가장 빠르다. 콩팥은 한 번 손상되면 정상 기능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투석으로 연명하거나 콩팥 이식을 받아야 한다. 2021년 기준 말기 신부전증 치료 환자는 1만 9,286명(혈액투석 83.6%, 콩팥 이식 11.4%, 복막투석 5.1%)으로 2000년 약 4,000여명에 비해 5배 가까이, 2010년 9,500여명보다는 2배 이상 증가했다. 지금까지 유병자는 12만 7,000여명에 달한다. 이는 해마다 500명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신부전증 유병률 세계 1위인 샘이며 이는 국가적 재난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뇨 전단계 환자(공복혈당 100~125 mg/dL)의 경우에도 방심은 금물이다. 일반인 대비 뇌경색 5배, 뇌출혈 2.5배, 심혈관질환 4.2배나 발생빈도가 높았다(2019년 대한당뇨병학회).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의과대학 연구팀 따르면 공복혈당과 식후 1시간 혈당수치 변동 폭이 50mg/dL 이상 차이 나면 혈당스파이크가 발생하고 지속이 커질수록 만성 염증의 주범인 활성산소가 대량 생산된다고 밝혔다. 활성산소는 시력저하(시력상실), 콩팥기능 저하, 발 궤양, 뇌혈관질환 위험 증가, 관상동맥질환 위험 증가를 가져오고 다양한 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적극적인 관심과 관리, 조기 치료가 핵심이다. 쉬운 당뇨 자가 진단법으로는 성인 남성 목둘레 38cm를 초과하면 당뇨발생 위험이 약 1.75배 증가하고, 성인 여성의 경우 목둘레 33cm를 초과하면 당뇨 발생위험이 1.2배에 이른다는 통계가 있으므로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주먹을 3초 동안 꽉 쥐었다가 폈을 때 3초 안에 손이 붉어지는 확인, 돌아오지 않으면 당뇨 초기 증상일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거주지 인근 병의원 (내분비)내과 등을 방문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종현 기자
neopr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