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가자연세병원황주민병원장
김포가자연세병원황주민병원장
척추는 여러 개의 뼈가 곡선을 이루면서 탑처럼 쌓여서 이어진 구조물과 같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체중보다 더 무거운 중력하중을 견디면서도 유연한 척추 관절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척추의 구조뿐만 아니라 척추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 수핵이 척추뼈 사이의 완충작용을 해줌으로써 유연한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디스크 수핵의 수분량이 감소하고 경직되면서 제대로 완충작용을 못하여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제 자리를 이탈하거나 수핵을 감싸는 섬유륜이 파열된다. 이것이 우리가 아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즉 허리디스크이다.

과거에는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 되어 중장년층이 허리디스크의 주 환자층이었으나 최근에는 20~30대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의 허리디스크는 후천적 생활습관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앉아있는 시간이 증가하며 지속적인 척추압박이 가중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특히 잘못된 앉는 자세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다리 꼬기, 엉덩이 뒤로 내빼고 앉기, 구부정한 자세로 앉기, 등받이 없이 바닥에 앉기 등은 척추 압박을 급격히 증가시킨다. 이뿐만 아니라 동일한 자세로 장시간 앉아있는 것도 지속적인 척추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자세를 바꾸고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다.

허리디스크로 인해 수핵이 이탈하여 신경이 압박 받게 되면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주변에 연결된 하지 부위의 신경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가락 끝까지 통증과 저림이 나타난다. 다만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척추관협착증을 비롯한 다른 질환과 혼동하기 쉬운데 허리디스크는 신경압박으로 인해 허리를 숙이면 통증이 가중되고, 젖히거나 스트레칭을 하면 통증이 감소한다. 또한 누워서 다리를 들 수 있는 각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도 차이점이다.

중증 이상의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을 진단 받았을 때, 수술 후 재발했을 때, 보존적 치료에도 증세호전이 미약할 때, 고령이거나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등)을 앓고 있어 일반적인 수술 치료나 시술 적용이 어렵다면 양방향 척추내시경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병변 부위를 직접 관찰하며 원인을 파악하여 신경 압박 원인이 되는 비후된 인대, 뼈를 제거하는 치료법으로, 정상조직의 손상은 거의 없이 신경을 압박하는 유착 조직만 제거할 수 있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또, 미세 병변까지 정교하게 제거, 치료할 수 있고 작은 절개부위와 국소마취로 진행하므로 고혈압, 당뇨 같은 전신 기저질환, 고령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치료 후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척추기립근을 강화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이 발생했을 때는 정확한 구분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정밀검사와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글 : 가자연세병원 황주민 병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