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모델링 분석 결과 발표 ...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화 확인

코로나19스파이크단백질자체구조안정성
코로나19스파이크단백질자체구조안정성
코로나19스파이크단백질과세포수용체의결합체구조안정성.(빨간색:세포수용체(ACE2),보라색:코로나19바이러스S1RBD)
코로나19스파이크단백질과세포수용체의결합체구조안정성.(빨간색:세포수용체(ACE2),보라색:코로나19바이러스S1RBD)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가 전염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분석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오미크론의 전파력을 예측하기 위한,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모델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오미크론 등 국내 발생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유전자 정보(오미크론, 알파, 델타, 뮤, D614G)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과 감염자의 세포수용체 결합을 분자동역학 모의실험방법(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거리, 결합자유에너지 측정)으로 분석하여 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발생 오미크론, 델타, 알파 등 변이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 정보를 대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오미크론 스파이크 단백질 3개 단위체 간 거리 편차가 가장 낮아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였고, 감염자의 세포수용체와 결합자유에너지 분석에서 오미크론이 가장 낮은 에너지 값이 확인되어 결합체 구조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이번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진화하면서 세포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의 안정성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바이러스와 세포 간 결합 가능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발생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세포 결합력 증가에 따른 오미크론 전파력 상승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세포 감염 시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구조적 안정성이 우세한 경향의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설명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구조 모델링 분석은 충남대 강남숙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되었으며, 국제 분자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최신호에 게재되어 국내·외 연구진들과 공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