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뇌전증(腦電症)은 치매, 파킨슨병과 함께 4대 뇌신경계질환으로 꼽힌다.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거나, 팔다리가 굳어지면서 경련을 보이는 증상으로 과거에는 간질로 불리며 사회적 편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대한뇌전증학회에 따르면 국내 뇌전증 환자는 약 36만명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뇌전증 진료 인원은 연간 15만명에 그쳐, 여전히 편견으로 인한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주로 10세 이하 아동에서 잘 진단되지만, 65세 이상 노령층에도서 잘 나타나는 만큼 고령화 사회에서는 주목해야 할 질환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는“많은 뇌전증 환자들이 약물치료로 일상생활 가능하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경우 완치도 가능하다”며 “인식을 개선하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About, 뇌전증

뇌신경세포들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전기적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데,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그 전기적 질서가 깨지면 과도하고 비정상적인 흥분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 ‘뇌전증발작’또는 ‘발작’이다. 대개 뇌전증 발작이 유발 없이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생길 때 '뇌전증’이라 진단한다.

뇌전증은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혈압이나 당뇨처럼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질병이다. 그러나 과거 ‘간질’이나 ‘지랄병’이라는 병명에서 보듯 예전에는 무지 때문에 환자에게 낙인찍고 유전적 성향이 강한 선천적 질환으로 이해했다. 하지만 연령별 발병률을 보면 고령에 새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고, 적극적인 치료로 완치가 가능한 질병이라는 인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About, 뇌전증 원인

뇌신경세포는 일정한 전기적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런 전기적 질서가 깨지면 비정상적인 흥분상태가 된다. 이때 보이는 증상을 ‘뇌전증발작’이라고 하며,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군을 뇌전증이라 한다.

뇌전증 발작이 1회만으로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뇌 영상검사(뇌 MRI 등)에서 뇌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병리적 변화가 존재하면 뇌전증으로 분류한다.

뇌전증의 주요 원인은, 뇌를 침범하는 질환과 사고로 인한 뇌손상이다. 드물게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출생 후 영·유아기 때는 분만손상과 뇌의 발달이상·선천성 기형·중추신경계 급성감염 등이, 성인의 경우 뇌졸중과 치매·외상·뇌종양·중추신경계 감염 등이 대표적 원인이다. 또 민물고기 등을 날로 먹었다가 뇌에 기생충이 침범해 발생하기도 한다

◎ About, 뇌전증 증상

발작 증상은 뇌전증의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크게 부분발작과 전신발작으로 구분한다. 부분발작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한쪽 손이나 팔을 까딱거리거나 입꼬리가 당겨지는 운동발작, 얼굴과 팔다리 한쪽에 이상감각이 나타나는 감각발작, 가슴이 두근거리고, 털이 곤두서거나 땀을 흘리는 자율신경발작, 갑자기 예전 기억이 떠오르거나 과거의 물건·장소 등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정신발작 등이 있다.

또 의식 손상과 함께 갑자기 어딘가를 멍하게 쳐다보거나, 입맛을 다시고 물건을 만지작거리는 등 의미없는 행동을 반복하는 부분발작 증상도 흔하다.

전신발작으로는 발작 초기에 갑자기 정신을 잃고 호흡곤란·청색증·근육 수축이 나타나 몸을 떠는 전신강직간대발작, 갑자기 행동을 멈추고 어딘가를 응시하거나 고개를 떨어뜨리는 증세가 5∼10초 정도 지속되는 소발작, 불규칙한 근수축으로 깜짝 놀라는 듯한 반응을 보이는 간대성근경련발작, 근육의 긴장이 풀려 길을 걷다 갑자기 넘어지는 무긴장 발작 등이 있다.

◎ About, 뇌전증 자가진단

1. 얼굴, 팔, 다리 등 몸의 일부가 갑자기 떨리거나,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2. 얼굴에 팔다리에 이상 감각이 느껴진다.
3. 한쪽이나 팔이 자신도 모르는 새에 까딱거리거나, 입꼬리가 당겨진다.
4. 주변을 알아보지 못하고 멍하게 있거나, 입맛을 다시거나, 물건을 만지작 거린다.
5. 전신이 뻣뻣하게 굳으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일이 있다.
6. 동작 중에 몸을 멈추고 5~10초간 멍하니 있다가 다시 행동을 이어한다.
7. 길가다가 이유없이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중 한 가지 이상 해당될 경우 병원에 들러 전문가와 상담이 권장된다.

◎ About, 뇌전증 진단

뇌전증 증상은 대부분 돌발적으로 나타나며, 지속 시간도 1∼2분에서 길어야 5분 이내이고, 양상도 비슷하다. 따라서 전조증상의 유무와 형태, 발작 양상, 발작 후 임상증상과 두통, 수면 등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

이 밖에 뇌전증의 유발 요인, 다른 질환의 병력과 가족력, 열성 경련이나 외상병력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런 증상과 함께 비유발성 발작이 24시간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생하면 뇌전증으로 진단하는데, 이때 뇌파검사나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등을 통해 최종 확인한다.

뇌전증 진단에는 뇌파검사가 중요하지만 뇌전증파가 나오지 않는다고 뇌전증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없다. 발작 상태가 아니면 뇌파가 정상으로 잡히기 때문인데, 실제로 환자의 30∼40%는 처음 시행한 뇌파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나며, 정상인도 1∼2%에서는 뇌전증파가 나타난다.

◎ About, 뇌전증 치료

치료는 약물치료·수술치료·전기자극기 치료 등으로 이뤄진다. 가장 일반적인 치료는 약물치료로, 환자 60∼70%의 발작을 조절할 수 있다. 수술치료를 고려할 때는 먼저 약물저항성 여부를 가려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2년 동안 최소 2가지 이상의 약물을 충분히 투여했음에도 재발된 경우 약물저항성으로 본다. 이 경우 수술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작의 병소를 찾아 수술을 진행한다. 이 밖에 미주신경이나 대뇌 심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방법도 있다.

약물치료에 반응하는 60∼70%를 제외한 나머지 30∼40%는 약물저항성 뇌전증에 속하지만 이들이 모두 수술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어서 다시 수술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 수술은 뇌전증의 원인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른데, 대표적 부분발작인 측두엽뇌전증의 경우 65∼85%까지 완치가 가능하며, 그 밖의 부분발작은 40∼60% 정도의 성공률을 보인다.

도움말분당서울대병원신경과윤창호교수
도움말분당서울대병원신경과윤창호교수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