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 등 근골격계 질환과 겨울 추위의 상관 관계는 근육 수축에 따른 혈액순환 불균형에 기인한다. 평소 무릎 관절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추위로 인해 전신 수축이 급격히 발생하면서 주변 관절 및 인대 압박에 따른 통증을 겪을 수 있다.
일례로 추운 날씨에 노출될 때 자연스레 몸을 웅크리는데 이는 체온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가 반복되면 근골격계 구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비정상적인 근육 및 인대 수축이 수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추위로 무릎 관절 주변 근육, 인대의 긴장이 고조되고 뻣뻣해지면서 유연성마저 악화된다. 이로 인해 무릎 관절을 움직일 때 찌릿한 느낌이 들면서 통증이 수반된다. 나아가 낙상 사고를 일으킬 위험 요인으로 부각된다.
무엇보다 고령층이라면 추운 겨울철 무릎 관절 건강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오래된 물건이 쉽게 고장 나듯 우리 몸도 노화에 의한 손상을 입는데 이 시기에 무릎 퇴행성관절염 발병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긴장, 수축에 따른 불안정한 무릎 관절 상태가 이어져 연골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내 연골이 점차 손상되면서 위, 아래 뼈가 서로 맞닿아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연골에는 혈관이 없어 손상되어도 스스로 재생할 수 없다. 때문에 시간이 지나며 연골 손상 범위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고 연골 손상 범위가 커질수록 무릎 통증 강도 역시 높아진다. 이와 더불어 무릎 관절 주변이 붓고 강직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문제는 무릎 통증이 지속돼 병원을 찾아 퇴행성관절염 검사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극미량의 연골 손상 가능성을 언급할 수 있다. 연골이 미세하게 손상된 상태로 영상 진단 검사를 시행한다면 이를 온전히 파악하기 힘들다. 또 다른 원인은 엑스레이 및 자기공명영상(MRI)의 진단 오류를 꼽을 수 있다. 단순 방사선 촬영만으로 관절 깊이 자리한 연골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MRI는 2mm로 나누어 영상을 찍기 때문에 그 이하의 작은 병변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더러 존재한다. 특히 연골 파열이 붙어 있을 경우 구분이 어렵다. 이런 경우 관절초음파, 관절내시경 등을 통해 병변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정밀 진단 결과 연골 손상이 경미하다면 관절내시경 수술, 인대강화주사요법 등으로 개선을 도모한다. 만약 연골 손상 정도가 심하다면 인공관절 치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치료 이후에는 무릎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고 적당한 운동 및 규칙적인 식습관을 지속 실시하여 주변 근육 및 인대 힘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고도일병원방형식원장(정형외과전문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