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누리병원서범석원장
건누리병원서범석원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척추관협착증(M480)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6년 144만 7,120명에서 2019년 172만 5,490으로 3년간 약 19% 이상 증가하였다. 매년 증가 추세로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주로 척추의 퇴행성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는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스마트폰의 잦은 사용, 허리에 무리를 주는 바르지 못한 자세와 생활습관으로 척추관협착증에 의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으로 다리 통증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여 걷는 데 불편함이 있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극심한 다리통증을 유발하는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척추의 인대, 뼈, 관절 부위가 퇴행성 변화 등으로 두꺼워져 척추관을 좁게 만드는데, 신경의 압박으로 부종, 염증, 통증을 발생시키게 된다.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누르게 되면 주로 다리로 가는 신경의 압박으로 다리통증이 두드러지게 발생한다.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무겁고 저리는 통증이 있으며, 걷다가 쉬기를 반복하다 쪼그려 앉으면 다리가 편해진다.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일시적으로 덜하여, 허리를 숙인 채 걷기도 한다. 반면에 허리를 뒤로 젖히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밤에 통증이 더 심하고, 증상을 방치하게 되면 다리 근육이 점점 가늘어지고 소변 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통증은 물론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으로 허리디스크탈출증과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두 척추질환의 발병 원인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통증의 양상도 달라진다.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심하다면 허리디스크탈출증일 수 있고, 반면에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덜하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허리디스크탈출증은 급성으로 오는 경우가 많은데,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이 비슷하여 오인하는 두 척추질환을 구별하는 것으로 MRI, CT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신경의 압박, 신경 압박, 협착 위치와 정도 등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 보존적 방법으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존적 요법,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다면, 최근에는 척추 내시경을 이용하여 협착의 원인을 직접 제거하는 양방향 척추내시경치료를 적용한다.

이 치료는 허리 부위로 두 개의 구멍을 낸 후에 내시경을 통해 병변 부위를 직접 보면서 협착의 원인이 되는 두꺼워진 황색인대나 관절부위, 돌출된 디스크 등을 제거하여 통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출혈, 흉터, 통증, 감염 등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고, 양쪽 방향으로 치료가 진행되어 넓은 수술 시야를 확보하여 보다 정교한 치료가 가능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