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서 비타민D 합성, 칼슘‧마그네슘‧인 흡수 촉진해 뼈 생성에 도움 … 손목, 척추, 대퇴부 고관절 등에 영향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주로 칼슘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장관에서는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뼈의 건강을 유지해주며, 최근에는 우리 몸의 다양한 면역반응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뒤에 기술할 음식들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음식 섭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우리 몸에서는 필요한 비타민D의 대부분을 피부에서 합성한다. 피부에서 합성되어 간과 신장에서 활성화 된 비타민D는 칼슘‧마그네슘‧인의 흡수를 촉진시켜 뼈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타민D가 부족하게 되면 뼈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성인에서는 골감소증, 골연화증, 심하게는 골다공증을 유발하며, 청소년기에는 구루병이 발생할 수 있다.
골다공증을 진단하기 위한 골밀도검사는,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법’을 통해 측정을 시행하거나 CT를 시행하는데, 최근에는 방사선 노출이 적은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법’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검사 결과는, 뼈의 밀도를 측정한 후, 1) 정상, 2) 골감소증, 3) 골다공증 중 하나로 분류한다. 골밀도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수치를 T스코어라고 하는데, 1) T스코어 수치가 -1이상이면 정상으로, 2) -1미만 -2.5초과는 골감소증으로, 그리고 3) 수치가 -2.5이하인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골다공증은 병태생리에 다양한 장기가 관여하므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면 매우 복잡하지만,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면, 뼈속에 구멍이 많이 생김으로써 작은 외부의 충격에도 뼈가 잘 부러지게 되는 질환이다. 골다공증 환자의 대부분은 자신이 골다공증인지 모른채 살아가다가 골절이 일어나고서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여성의 경우에는 50세 전후 폐경이 되면서 여성호르몬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조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율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높다. 골다공증에서 쉽게 영향을 받는 뼈 부위는 주로 손목, 척추, 대퇴부 고관절 등이며, 해당 부위의 골절이 발생하면 이와 연관한 합병증 증가로 인해 사망률까지 증가하게 된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골절이 발생한 각 부위에 적절한 정형외과적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우선된다. 골절의 발생이 없이 골다공증만 있을 때는, 골다공증의 진행을 막기 위해 칼슘과 비타민D 등의 섭취를 늘리고 햇볕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에는 칼슘이 많은 음식들과 비타민D가 많은 음식들이 있다. 칼슘이 많은 음식에는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과 멸치, 뱅어포 등 뼈째 먹는 생선, 두부 등이 있다. 비타민D가 많은 음식에는 연어, 고등어, 청어 등의 생선과 계란 노른자, 버섯류, 비타민D 강화 유제품 등이 포함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비타민D의 경우 지용성 비타민이라 지나치게 섭취하면 체내에 축적되어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량의 섭취를 하지 않고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생활습관의 변화와 더불어 전문의에게 처방을 받아 골다공증 치료제나 여성호르몬 치료 등을 함께 하면 뼈 생성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최근 다양한 골다공증 치료제의 개발로 골다공증의 진행을 역전시키거나 어느 정도 늦출 수 있게 되었다.
에스엘서울병원 김영기 원장은 "50세 이상의 경우, 여성의 30-40%와 남성의 10%는 골다공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80~90%는 진단과 치료를 받고 못하고 자기도 모른채 살아간다“며 ”비타민D가 결핍되어 골다골증이 오면, 근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약해진 뼈의 강도와 맞물려 쉽게 넘어지고 골절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퇴골 고관절 골절은 가장 위험한데, 1년내 10%가 사망에 이를수 있고 40%는 혼자 걷지 못하고 60%는 일상 생활에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며, 80%는 보조 보행기를 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일단 골절이 발생하면 빠르게 정형외과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골절 발생 전에는 평소 골다골증을 미리 진단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대퇴골 고관절 골절의 경우에는 발생시 70세 남성의 경우 1년내 30~40%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